전북의 희망을 넘어 대한민국의 희망의 땅, 약속의 땅 새만금!
노태우 정권 이후 여야를 막론하고 대통령 후보들은 너도나도 앞다투어 새만금을 찾아 장밋빛 공약을 하였다. 그리고 30년이 흘렀다. 지난 새만금의 30년은 전북도민에 대한 장밋빛 희망고문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얼마 전 여권 대통령 후보가 어김없이 새만금을 다녀갔다. 그러나 이대로 가다가는 또 다른 30년을 우리는 기다려야만 된다는 염려와 걱정이 앞선다.
이제 새만금은 속도전이며 대통령의 통 큰 결단이 필요한 시기이다. 나는 지역구가 김제, 부안인지라 얼마 전에도 새만금 지역을 둘러보았다. 정말 가슴이 아프도록 시려왔다. 물론 신재생 에너지로서 태양광이나 풍력발전도 중요하지만 새만금을 태양광발전 하려고 대한민국 지도를 바꾸는 단군 이래 최대 국책사업을 시작한 것은 아니지 않는가? 만약 새만금이 우리 전북이 아닌 영남 지방이나 타 시도에 위치해 있다면 과연 지금의 모습은 어떠했을지를 상상해본다. 정치권은 숲 전체를 보지 못하고 나무만을 보는 우를 범해서는 안된다. 새만금 사업은 언발에 오줌누기 식 찔끔 예산이 아니라 대통령이 통 큰 결단을 내려 최대 국책사업 답게 임기 5년 내에 끝장내겠다는 각오로 지원한다면 자연스럽게 민간기업들이 앞다투어 투자하고 외국 기업들도 밀물처럼 밀려 들어와 성공적인 마무리 완성을 이룩할 것이다.
다행스럽게 국민의힘 윤석열 대통령 후보는 지난 10월 21일 전북윤공정포럼 발대식에서 영상메시지를 통해 “새만금을 국제투자진흥지역으로 지정하여 세계 최고의 국제자유도시로 재탄생시켜 글로벌 기업들이 몰려들고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되도록 하겠다”고 분명하게 약속하였다. 따라서 나는 새만금복합리조트호텔 건립과 새만금 국제해양영화제 개최 등 2가지를 대통령 공약사업으로 제안하였다. 과거에는 관광·레저 산업이 자연경관이나 문화·유적지 등을 탐방하며 구경하는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한곳에서 먹고 쉬고 그 지역의 특색있는 콘텐츠를 즐기는 트렌드가 바뀌었다.
새만금은 공항과 항만, 철도가 어우러진 교통 인프라와 천혜의 자연 경관을 갖춘 지리적 장점이 있다. 특히 산동반도에서 2시간 이내의 거리(칭따오 1시간 25분, 상해 1시간, 베이징 1시간 40분), 동남아(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등)에서 6시간 이내의 거리에 위치해 있다.
만약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샌즈호텔, 마카오 더 베네치안 리조트호텔 등과 같은 복합리조트호텔이 건립된다면 관광·레저 등에서 국제적 무한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고 본다.
프랑스의 작은 지방도시 칸느는 영화제로 세계적인 도시가 되었으며 미국 콜로라도주 아스펜시(市)도 록키산맥의 폐광촌에 열약한 지리적 조건에도 창조적인 정책구상을 통해 세계적인 음악 도시로 재탄생한 지역발전의 좋은 예이다. 이와 같이 새만금도 국제해양영화제를 통해 2023년 세계잼버리대회 개최와 더불어 세계적인 문화·예술도시로 거듭날 수 있다고 본다. 관광·레저·문화·예술이 살아 숨쉬는 도시! 새만금은 전북을 넘어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를 전파할 보고이다. /나경균 (국민의힘 김제부안당협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