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수도권 통근버스 당장 폐지하라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인 농촌진흥청의 수도권행 주말 통근버스가 내년에도 운행되는 모양이다. 수도권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이전해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고 국가균형발전을 꾀해보자는 혁신도시 조성 취지와 달리 여전히 수도권으로 직원들을 실어나르고 있다.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대한 기관장은 물론 직원들의 총체적 인식 부재가 아닐 수 없다.

농진청은 내년에 올해와 같은 1억5265만 원의 통근버스 관련 예산을 세웠다고 한다. 매주 금요일 퇴근후 수원으로 출발해 일요일과 월요일 돌아오는 통근버스는 농진청이 전북혁시도시로 이전해 온 지난 2014년부터 운행돼 왔다. 이전 초기 주거 및 교육 환경이 미비해 통근이 불가피했더라도 무려 8년 동안이나 계속돼 온 것은 문제다. 직원들에게 특별공급 아파트까지 제공됐고 중고교 재학 자녀들의 대학 진학도 이미 마무리됐을 시점이다.

혁신도시 조성 취지에 반하는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이전기관의 행태는 농진청의 주말 통근버스 뿐만이 아니다. 전북혁신도시내 한국농수산대학은 지난 2019년 타 지역에 분교 설치를 추진해 논란을 불렀다. 지역사회의 들끓는 비판 여론에 분교는 없다고 밝혔던 총장은 이후 여론이 잠잠해지자 또다시 멀티캠퍼스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런 인식을 가진 총장이 곧바로 농진청장으로 자리를 옮겼으니 주말 통근버스가 중단됐을리 없다.

농진청은 전북혁신도시로 이전했지만 국가기관이라는 이유로 지역인재 의무채용 대상기관에서도 제외돼 있다.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공공기관 비율은 70%를 넘지만 전북은 13개 이전기관 가운데 공공기관이 6곳으로 절반에도 못미친다. 농촌진흥청과 4개 산하기관 등 모두 6개가 국가기관이어서 지역인재들이 오히려 불이익을 받고 있다. 지난 5월 전북도의회가 ‘혁신도시 공공기관 지역인재 채용제도 운영 개선 촉구 건의문’까지 채택했을 정도다.

농진청은 통근버스를 내년까지만 운행하고 2023년부터는 폐지할 방침이라고 한다. 그러나 국민 혈세까지 지원하는 통근버스 문제는 어물쩍 넘어갈 사안이 아니다. 통근버스가 왜 필요한지, 수도권으로의 주말 원거리 통근 사유가 무엇인지 철저히 따져봐야 할 일이다. 국가기관인 농진청의 정부 정책에 반하는 행태는 반드시 고쳐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