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상용차의 95%를 점유하던 전북 상용차 산업의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지난 9일부터 15일 오후 5시까지 전주공장 내 기술직군을 상대로 아산공장뿐 아니라 기아 소하리, 광주공장 등지로 타 지역 근무를 희망하는 전환배치 신청자를 모집 중이라고 12일 밝혔다.
지난 1995년에 문을 연 전주공장은 세계 최대규모인 연간 10만대 상용차 생산시설을 갖추고 지역경제를 견인했다.
2014년 물류 호황에 힘입어 연간 6만 9000대를 생산하는 등 국내 상용차의 95%를 점유했지만 유럽 친환경차의 내수 공략과 코로나19로 수요가 줄면서 지난해 3만 6000대 생산에 머물렀다.
하지만 지난 10월 소형 상용차인 스타리아의 울산공장 생산 물량 8000대가 전주공장으로 이관이 타결돼 물량 부족난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그럼에도 현대차 전주공장이 2년 만에 내부 직원들을 대상으로 아산공장 등 타 지역 전환배치 신청을 받으면서 도내 상용차 산업의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전주공장의 스타리아 생산 이후에 대해서는 이렇다 할 구체적인 계획이 없는 상황이어서 이번 전환배치 조치가 상용차 위기감의 불씨를 키우는 꼴이 됐다.
지역사회는 2년 전 전주공장이 직원 50여명을 기아 광주공장에 전환배치한 이후 또 다시 이를 추진하자 결국 생산 물량 감소에 따른 후속조치라는 우려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는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전주공장의 생산량이 크게 감소한 탓에 전환배치가 추진되고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현대차가 주축인 도내 상용차 산업의 위기감이 확산되는 분위기다.
현대차 전주공장은 이러한 논란을 의식해 전주공장이 주문량 부족에 시달리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번에 타 지역 근무희망자 사내 공모는 그 규모가 소수에 불과하고 직원들의 고충을 처리해주기 위한 조치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전주공장은 스타리아 물량 배정에도 버스 등 주문량 부족에 여전히 일감 부족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현대차 전주공장 노조 등 6개 업체로 구성된 상용차전북대책위원회는 정부와 지자체의 상용차 산업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며 각 정당 대통령 후보에게도 상용차 정책질의서를 보내는 등 목소리를 내고 있는 상황.
이러한 상황임에도 전북도는 이번 전주공장 전환배치 문제에 대해서도 사기업이란 이유로 손을 놓고 있었던 것으로 확인돼 상용차 산업이 도내 주력산업임을 감안하면 너무 소극적인 자세라는 비판이 나온다.
상용차대책위 관계자는 “전북 상용차 산업이 도내 주력 산업이자 국가기간산업으로 도내 제조업의 20%를 차지하는데 관련 업계에서 사라진 일자리가 3000여개이다”며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전북도와 정치권은 상용차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적극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