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바이오가스로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를 생산하는 수소 융복합 시설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전주시와 전주시의회, 한국수력원자력㈜(사장 정재훈), ㈜태영건설(대표이사 이재규), 전북도시가스㈜(대표이사 김홍식)는 14일 전주시장실에서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융복합사업 공동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전주시 음식물류 자원화 시설의 음식물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메탄)를 활용해 전기 및 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 협약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과 태영건설은 총 1200여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3년 하반기까지 연료전지 발전 20㎽(메가와트) 및 수소생산 600㎏/일 규모의 수소 융복합 시설을 국내 최초로 구축할 계획이다.
시와 시의회에서는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융복합사업 관련 인허가 등 행정절차를 적극 지원하고, 한국수력원자력㈜은 사업 총괄관리 및 REC 구매를, 태영건설은 EPC(설계, 조달, 시공)를, 전북도시가스는 도시가스(LNG) 공급을 담당키로 했다.
시는 국내 최초의 바이오가스 기반 수소 융복합사업을 통해 수소 도시 이미지 제고는 물론이고 수소연료전지 개발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30%, 전력 자립률 40% 달성을 목표로 한 ‘에너지디자인 3040’ 정책과 정부의 탄소 중립 등 그린뉴딜 정책에도 부응하는 발판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민간 투자사업 유치에 따른 일자리 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바이오가스의 판매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 창출 등 다양한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