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극복을 위한 여러 시책에도 출생아 급감 추세가 계속되고 있다.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전북지역이 더욱 심각하다. 전북지역 출생아 수를 보면 2015년 1만4289명에서 2019년 9078명으로 1만명 선이 무너지고, 지난해에는 8318명으로 줄면서 6년 사이 약 41%나 감소했다. 전국 평균 감소율 38%보다 높다.
이 같은 추세는 올들어서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3분기까지 전북 출생아 수는 5837명으로, 전년 동기 6243명보다 6.5% 감소했다. 전국 평균 3.5% 감소율보다 높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합계출산율 1명 선이 2019년 무너진 후(0.97명) 올들어서도 1/4분기 0.92명, 2/4분기 0.87명, 3/4분기 0.85명으로 계속 떨어졌다.
저출산 현상은 인구고령화와 맞물려 사회 전체의 활력을 크게 떨어뜨리면서 지역소멸론까지 거론되고 있다. 전북지역 14개 시·군 중 전주·군산·익산·완주를 제외하고 나머지 10개 시군이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고령화가 상수임을 감안할 때 저출산 문제의 극복 없이는 지역의 미래가 암울할 수밖에 없는 셈이다.
문제는 저출산 극복을 위한 뾰족한 해법이 없다는 점이다. 정부가 저출산 극복을 위해 그간 쏟아낸 정책만 해도 수십 가지다. 지자체들도 경쟁적으로 출산장려금을 지급하고, 아이키우기 좋은 환경을 만들기 위한 여러 시책들을 추진해왔다. 그럼에도 출생아 수가 계속 감소하고 있으니 답답할 노릇이다.
저출산 극복은 결코 포기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다. 아이를 키우는 게 해당 가정만이 아닌 지역사회와 국가의 책무로 여겨야 한다. 기왕 지원제도에 부족함이 없는지 계속해서 살피고 보완해야 한다. 그 점에서 전북도가 내년부터 모든 출생아에게 200만원을 바우처(카드 포인트)로 지급하는‘첫만남이용권’ 사업을 새로 도입한 것은 잘한 일이다. 여기에 전북도가 사회 지도층이 참여하는‘저출산 극복 사회연대회의’를 꾸려 범도민적 대응에 나선 것도 사회인식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산 및 육아를 사회 공동의 책임으로 인식시키는데 지도층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연대회의가 저출산 극복의 선봉에 서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