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예원 가야금 독주회 ‘금여수신’

이예원 가야금 연주가 제6회 독주회
23일 오후 7시 국립무형유산원 소공연장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 등 들려줄 예정

이예원 연주가 

이예원 가야금 연주자가 6번째 독주회 ‘금여수신(琴如修身)’을 연다. 금야수신은 가야금을 연주하는 것은 수신이라는 의미이다.

공연은 23일 오후 7시 국립무형유산원 소공연장에서 선보인다.

이예원 연주자는 이날 무대에서 고창 육이계 풍류 중 세령산‧가락더리‧상현도드리와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를 선보인다.

고창 육이계는 육예(六藝)가운데 두 번째인 악을 의미하는 고창 지역의 풍류계다. 성내 3‧9회와 흥덕 아양율계가 해산되고 옛 3‧9회의 회원들이 조직해 연주한 풍류이다. 회원은 이예원 연주가의 외증조부인 석전 황욱을 비롯해 황하영, 황오익, 김정의, 김구수, 신쾌동, 이화중선, 김옥진, 김성용 등이 참여했다. 공연에서는 석전 황욱 선생이 연주했던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를 올린다.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는 선율과 박자가 섬세하고 박자가 다양하며, 엇모리와 단모리 장단에 독특한 가락이 첨가돼 있다. 복잡한 음악구성과 심오한 내면적인 감정이 얽혀있어 본연의 진가를 들어내기 쉽지 않은 산조이다.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엇모리‧휘모리‧단모리로 구성돼 있다.

공연에서 고수는 서수복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단원, 해설은 주재근 정효국악문화재단 대표가 나선다.

이예원 연주가는 “고창 육이계 풍류와 김병호류 가야금 산조를 통해 제 이야기를 들려드릴 예정”이라며 “외증조부께서 그러셨듯이 저도 수신의 의미를 되새기며 제 음악을 돌아보며 음악의 깊이를 더해보고자 한다”고 밝혔다.

특히 “김병호류 산조는 가장 저다운 산조”라며 “이번 연주는 복잡한 음형과 연주법으로 구성된 김병호류 산조안에서 저만의 색을 나타낼 수 있게 준비했다”고 강조했다.

이예원 연주가는 국립 국악고, 한양대 국악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전북대 한국음악과 강의초빙교수, 전통문화고등학교 강사, 국악관현악단 코라이즌 단장, 가야금앙상블 ‘하나’ 동인, 한양가야금연주단 회원이다. 독주회는 지금까지 5차례 가졌다. 음반은 가야금 앙상블 ‘하나’, 국악방송 새음원 시리즈 ‘악서정해’를 발매했다. 수상경력은 제20회 전국 우륵 가야금 경연 대회 기악부문 대학부 금상, 제8회 전국 승달 국악 대제전 현악 일반부 최우수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