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재선 의원들이 일찌감치 출사표를 던지면서 조기 점화된 ‘도백(道伯)경쟁’ 예상 후보들에 대한 설왕설래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선을 앞두고 대통합을 이야기하면서 거론되는 여권 후보군이 늘었다.
내년 6월 전북도지사 선거는 지난해 김윤덕 의원(전주갑)에 이어 올해 안호영(완주·무주·진안·장수)의원이 출마 의사를 밝힌 후 치열한 물밑싸움이 전개되고 있다.
재선인 송하진 지사는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진행하는 선출직공직자 평가에 참여하면서 3선 도전이 확실시 됐다.
이들 세 명의 출마여부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재선 의원들의 경우 본인들이 강한 의지를 어필하고 있는데다 도지사 경선에 참여해도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가 적다. 송 지사 역시 ‘전북대도약 과업 완수’를 목표로 정치·행정가로서 마지막 대장정에 돌입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전북지사 후보자리를 둔 민주당 경선은 3파전이 예고돼왔다.
하지만 최근 ‘범민주세력 대통합론’이 대두되면서 과거 국민의당과 민주평화당 소속이었던 정동영·유성엽 전 의원이 전북지사 후보군에 오르내리고 있다.
여기에 전북지역 활동이 잦아진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의 ‘전북지사 등판설’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들은 정계복귀 시기와 맞물린 도백 출마 여부에 대해 말을 아끼고 있지만, 강한 부정도 하지 않고 있다.
이 세 사람의 측근 인사 중 일부는 전북지사에 도전할 것을 권유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감지된다. 하지만 ‘이들 앞에 놓인 상황이 녹록치 않다’는 반론도 적지 않아 당장의 정계복귀보다 상황과 민심을 관망하고 있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열린우리당 대선 후보를 지낸 정동영 전 민주평화당 대표와 유성엽 전 민생당 대표 입장에선 우선 민주당 복당이 이뤄져야한다. 정치권에선 이재명 후보의 대통합 선포 이후 이들이 빠른 복당을 예측했지만, 두 사람의 장고는 길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만약 두 사람이 복당을 개진하면 지사 선거에 뛰어들 가능성이 지금보다는 높아질 것으로 분석된다.
정읍출신으로 전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김현미 전 장관의 정치적 텃밭은 경기도 고양 일산이지만, 요즘 들어 전북에서 비공개 대외활동이 활발해졌다.
전북대 특임교수와 행정대학원 초빙교수를 맡은 그는 강연 활동 외에도 완주와 장수, 전북혁신도시 등을 찾아 전북의 현황을 심도있게 파악하고 있다. 김 전 장관은 새만금 사업에 대해서도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강의 주제 역시 전북발전과 국가균형발전을 중심에 두고 있다.
특히 정계복귀에 장애요인이었던 ‘경기 연천 땅투기 의혹’에 대해 경찰이 무혐의로 결론을 내리면서 김 전 장관의 지선 출마에 관심이 더욱 쏠리고 있다. 경기북부경찰청은 지난 14일“(김 전 장관의 토지와 관련)불법 임대나 전용사실이 없는 것으로 확인했다”면서“김 전 장관에게 제기된 모든 혐의가 사실과 달라 불송치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일각에선 그가 경기지사나 고양에서 다시 출마할 수 있는데 굳이 전북지사를 택하겠냐는 주장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지역정치권은 다르게 바라보고 있다. 경기도나 수도권에서 정치를 재개 한다면 충분히 그곳을 거점으로 삼아 초빙교수로 활동할 수 있는 사람이 굳이 불편을 감수하고, 전북지역에 대한 애정을 보이며 도내 정치권 인사들과 교류 하겠냐는 주장이다.
지선이 가까워지는 상황에서 6자 구도는 무리한 관측이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하지만 허무맹랑한 소문이라 치부하기엔 이들 모두 광역자치단체장에 대한 관심이 높다. 이는 국회 입성과 전북도지사 중 고향의 도백으로서 정계에 복귀하는 것을 스스로가 원할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반면 도백 다자구도는 송 지사 3선 이후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번 경선에선 송 지사와 재선 의원 중 양자구도로 진행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송 지사의 3선 이후 전북지사 자리가 무주공산이 되면 유력한 후보군이 없어지는 만큼 이러한 분석이 고개를 들고 있다.
서울=김윤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