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설에 휘말렸던 한국가스안전공사 전북지역본부가 내년부터 명칭을 바꾸고 광주광역본부로 통합 재편돼 호남 예속화에 대한 우려가 현실이 됐다.(2021년 9월 7일 1면 보도)
도내에서는 전북본부가 광주광역본부로 흡수 통합됨으로써 독자적인 권한을 잃고 향후 입지가 좁아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가스안전공사(사장 임해종, 이하 공사)는 가스안전관리 정책기능 및 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골자로 전국의 각 지역본부를 광역단위로 통합하는 ‘2022년 상반기 조직개편’을 단행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당초 공사에서는 내년 조직개편에 대해 지역본부의 통합 등 구체적인 방향은 정해지지 않았다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이번 조직개편 내용을 보면 공사 설립 이래 최초로 ‘광역본부제’를 도입해 전북 등 기존 14개 지역본부를 7대 광역권으로 통합하는 계획이 담겨 있다.
7대 광역권은 서울광역본부, 부산광역본부, 대구광역본부, 대전광역본부, 광주광역본부, 경기광역본부, 강원광역본부 등으로 재편된다.
전북지역본부는 당장 내년부터 전북본부로 명칭이 변경돼 전남동부지사, 전남서부지사 등과 함께 광주광역본부 체제로 통합된다.
현재 전주시 서신동에 자리를 잡은 전북지역본부는 도내 14개 시, 군의 가스안전관리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본부 내에서는 가스시설과 제품에 대한 검사 및 점검, 시공감리와 안전교육, 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총 40여명의 직원이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공사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에 대해 “지역별로 개별수행 중인 업무를 광역본부 단위에서 통합 수행할 수 있게 개편함으로써 현장조직의 업무효율을 개선하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제주본부는 전북 등 타 지역본부들과 달리 조직이 상대적으로 소규모란 이유로 공사 측의 광역본부 재편에 제외돼 형평성 논란도 불거지고 있다.
전북지역본부는 광주광역본부 단위에 묶여 그 역할과 위상을 다시 정비해야 하는 처지에 놓여 지역사회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끊이질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도내 한 상공업계 인사는 “대도시 위주의 기관 통폐합이 현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 방향과도 맞지 않고 오히려 역행하는 꼴”이라며 “과거 KT, 한국수자원공사,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한국농수산대학, 한국국토정보공사 등의 사례에서 볼 수 있었던 전북 흔들기가 또 다시 재현된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영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