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정하는 ‘명문장수기업’에 전북 기업은 단 한곳도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중견기업 육성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는 중소기업 7개사, 중견기업 4개사 등 총 11개사를 명문장수기업으로 선정했다고 26일 밝혔다.
중기부는 서면평가, 현장평가, 정부기관 및 언론의 평판 검증과 전문가 집단의 심층평가 등 까다로운 절차를 통과한 기업들을 명문장수기업으로 선정했다.
명문장수기업은 해당 업종에서 45년 이상 유지한 기업들 가운데 고용유지, 인권, 안전, 사회공헌 등 경제적 사회적 기여에 이바지한 기업을 뜻한다.
중기부는 2016년 명문장수기업 제도를 도입한 이래 2017년 6개사, 2018년 4개사, 2019년 4개사, 2020년 5개사, 올해 11개사 등 총 30개사를 선정했다.
명문장수기업으로 선정된 기업은 자사 또는 제품 홍보 시 명문장수기업 마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지난해까지 혁신성장지원자금의 한도 확대 등 5개 사업만 우대했으나 올해부터는 산업기능요원 선발 가점을 비롯해 수출 유망 중소기업 가점 등 중기부 61개 사업에 대해 우대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현재까지 명문장수기업에 선정된 기업들은 전국에서 업력 45년 이상 기업 4376개사 중 0.7%에 해당한다.
하지만 전북 기업은 제도 시행 5년이 지났지만 단 한 곳도 선정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올해의 경우 전국에서 100개사가 신청했지만 도내 기업은 한곳도 신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도에 따르면 2019년말 기준 업력 30년 이상 기업이 356개사로 집계됐다.
따라서 코로나19 여파와 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향토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고용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명문장수기업 육성이 시급한 과제로 여겨진다.
전북중소기업협회 관계자는 “도내 창업 기업 10개사 가운데 3개사가 1년도 지나지 않아 문을 닫아 오랫동안 지역에 뿌리를 내리고 있는 기업을 지원하는 방안이 절실하다”며 “도내 중견기업이 좋은 본보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자체가 명문장수기업 제도의 홍보를 통해 지역에서도 더 많은 기업이 선정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