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항의 고질적인 현안은 준설이다.
토사매몰현상은 금강하구둑의 완공 이후 더욱 심해져 군산항의 발목을 단단히 잡고 있다.
최근 연평균 360여만㎥의 토사가 매몰되고 있다. 하지만 유지준설예산은 소요 예산의 1/3수준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정부의 준설의무가 제대로 지켜질 일이 없다.
토사는 쌓여 군산항의 숨통을 조인다. 특히 하역작업이 이뤄지는 선석의 수심은 형편없다.
14m의 수심을 확보해야 하는 5만톤급 부두는 12m를 밑돌고 있다. 11m로 계획된 2만톤급의 부두는 9.5m에 불과하다. 컨테이너부두도 계획수심 12∼13 m에 부족한 약 10m에 그치고 있다.
부작용이 만만치 않다. 선박이 뻘에 얹히는 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화주는 물론 선사와 대리점들은 안전 때문에 불안불안하다.
대형 화물선들은 군산항에서 하역해야 할 모든 화물 중 일부를 다른 항만에서 하역한 후 군산항에서 나머지 화물을 하역하기도 한다.
2000TEU급의 컨테이너부두는 1000TEU급 조차 제대로 소화할 수 없어 도내 컨테이너화물의 90%이상이 다른 항만에서 취급되고 있다.
최고조때는 대형선의 입출항이 몰려 도선과 예선의 쏠림현상에 따른 긴박한 운영으로 안전이 담보되지 않고 있다.
이런 현상은 수십년간 지속됐다. '군산항은 으레 , 그러하다' 면서 이런 비정상적인 현상이 이제는 일반화되다시피했다.
도내 정치권은 물론 행정기관과 심지어 항만이용자들까지도 이런 사고에 젖어 있다. 문제는 해결방안을 찾지 않고 있다는데 있다.
선석수심확보를 위해 매년 턱없이 부족한 정부의 유지준설예산에 더이상 매달릴 수 없다.
그런 만큼 부두운영회사들이 자신들이 운영하는 임차부두의 선석 준설에 적극 나서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돼야 한다.
CJ대한통운, 세방, 선광, 한솔로지스틱스, 군장신항만, 군산항 7부두운영, 군산컨테이너터미널 등 부두운영회사들은 정부의 허가를 받아 민간자본을 투입, 준설공사를 비관리청항만공사로 추진할 수 있다.
또한 준설공사의 투자비는 부두임대료 등 항만시설사용료를 통해 보전받을 수 있다.
선석수심만 제대로 확보되면 선사, 화주, 하역회사 등 항만시설 실수요자에게 신속한 시설확보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군산항은 선박의 대형화에 적극 대처할 수 있으며 항만안전은 물론 물동량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선사와 하역사및 선박대리점, 도선사들도 불안감을 떨쳐버리고 보다 안전하게 항만운영에 나설수 있다.
이런 점에서 토사매몰현상이 매우 심한 군산항만의 특수성을 감안, 선석수심확보를 부두운영회사들이 비관리청항만공사로 이행하도록 의무화하는 것이 어떨지 싶다.
또한 매년 확보되는 유지준설예산으로는 군산해수청이 주항로와 선석에 연결되는 접근항로의 수심을 확보하고 이 준설공사와 동시에 부두운영회사들도 선석 준설공사에 나설수 있도록 하면 준설효과도 높이고 예산도 절감할 수 있다.
최근 (주)선광이 전면수역의 지속적인 퇴적으로 계획수심 12m가 확보되지 않자 선박 이접안의 안전성이 결여돼 부두운영에 지장이 초래되고 있다면서 비관리청항만공사로 유지준설공사에 직접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더 이상 선석 준설해달라고 아우성치고 징징댈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