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원점 재검토하라"

남원시 가야역사 바로세우기 시민연대(이하 남원가야 시민연대)가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 세계유산등재과정 대해 공론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남원가야 시민연대는 29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가야고분군 세계문화유산 신청과 관련한 공문 서류 한 장도 공개하지 않는 문재인 정부와 문화재청, 가야고분군 등재추진단과 7개 자치단체, 전북도‧경북도‧경남도 세 곳을 향해 엄중 경고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남원가야 시민연대는 "이미 올해 8월부터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남원가야고분군 국책사업의 문제점이 전국언론에 보도됐다"며 "11월 남원임실순창에 지역구를 두고 있는 이용호 의원이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박정 의원이 12월 문화재청 국정감사에서 '등재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볼 때 국익을 해치는 사업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송하진 지사가 위원장으로 있는 가야고분군 세계문화유산 등재추진단은 시감사나 도감사, 국정감사도 피해가는 무소불위의 한시적 조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 또 남원가야고분군 완성도 통과 신청서 건에 심각한 문제가 드러난 이후에도 자체 내 위원회에서 회의가 단 한 번도 없었다"고 지적했다.

소통의 부재도 꼬집었다. 남원가야 시민연대는 "전북도가 주최하고 군산대 가야문화연구소가 주관한 학술대회는 행사장 출입을 제한했고, 시민의 자료집 요구도 여분이 없다고 거절했다"며 "추운 겨울 전주박물관 밖에서 6시간을 기다린 시민들이 학술행사를 마치고 나오는 발제자 곽장근 교수에게 공개 질문하려는 상황도 제지당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발표자이며 연구책임자인 당사자에게 질문하려는 시민의 권리를 가로막고, 당사자도 아닌 제3자들이 개입하고 물리력을 행사하는 행위는 심각한 실정법 위반"이라고 꼬집었다.

남원가야시민연대는 "5000만원을 연 학술행사는 전북도민을 기망하는 학술대회로 추락했다"며 "전북도민의 혈세가 사용된 내역을 자세히 공개한 뒤, 모든 시민들이 참여할 수 있는 공론화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 <일본서기> 에 나온 기문국 명칭을 삭제하지 않는 이유를 남원시민에게 해명한 뒤, 원점부터 재검토해서 세계유산 등재를 신청해야 한다"며 "세계문화유산 신청은 매년 제출, 철회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