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내 정부 교육기관인 농촌진흥청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가 올해도 비대면 교육이 이어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지방자치인재개발원에 이어 혁신도시 양대 교육기관의 비대면 교육에 따라 지역상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4일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에 맞춰 교육 운영 지침을 마련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지침과 코로나19 상황을 종합해 집합 교육 여부와 시기를 결정한다는 게 기본 방향으로 단계적 일상회복 과정에서는 집합 교육이 가능하다는 기준을 세웠다.
현재 센터 교육은 농진청 직원과 공무직,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비대면 ‘e-러닝’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 다음 달부터는 전국의 농촌진흥공무원과 농업인, 지역 주민 등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교육이 진행된다.
하지만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약 한 달 반 만에 방역 강도가 높아지면서 올해도 비대면 교육 가능성이 커졌다. 당장 다음 달부터 시작하는 집합 교육도 우선 비대면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관계자는 “집합 교육으로 계획돼 있는 건 대부분 실시간 온라인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며 “작년만 하더라도 이맘때쯤 코로나19 사태가 어느 정도 정상화될 것으로 생각했는데 올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고 밝혔다.
센터의 비대면 교육 연장은 지역사회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센터의 한 해 평균 교육생은 4600여 명으로 올해 집합 교육 대상자는 총 4284명이다.
평소 같으면 교육생들은 3~6주 교육 기간 중 짧게는 2주 정도 센터 내 기숙사에서 머물며 지역 상권 활성화에 보탬이 돼 왔다.
하지만 코로나19로 교육생이 끊기면서 지역 상권이 침체됐고, 전북혁신도시의 경우 주말이면 이전기관 직원들이 다른 지역으로 빠져나가 다른 상권보다 타격이 더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센터와 함께 전북혁신도시 양대 교육기관으로 꼽히는 지방자치인재개발원도 생활치료센터 지정 등으로 대면 교육이 사실상 불가능해 악재가 겹치고 있다.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 관계자는 “두 기관 모두 비대면 교육을 하게 되면 주변 상권에서 장사하시는 분들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농촌인적자원개발센터는?
농업 경쟁력을 기르기 위한 농촌진흥공무원 및 농업인 대상 맞춤형 교육기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