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 균형발전 역할 잊었나

새해 각 지자체장을 비롯해 기관·단체장들이 속속 신년사를 통해 한 해 기관 운영 방향과 사업 구상을 밝히고 있다. 이런 신년사는 세부 실행계획도 없는 장밋빛 청사진이거나 단순 립서비스 수준일 수도 있지만 최고 책임자가 해당 기관·단체의 새해 사업 계획과 기관 운영 방향을 직접 제시한다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올해는 특히 지방소멸 위기와 맞물려 국가 균형발전이 시대적 의제로 부각되면서 혁신도시 이전 기관장들의 신년사에 이목이 쏠렸다. 혁신도시는 지난 2003년 당시 노무현정부가 국가 균형발전 구상을 통해 공공기관 지방 이전 추진 계획을 발표하면서 태동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을 완화해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취지였다. 올해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균형발전 의제가 다시 부각되고 있는 만큼 혁신도시 이전기관장들의 신년사에 ‘균형발전’ 이나 ‘지역상생’ 이라는 문구가 포함되는 게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그런데도 올해 신년사를 발표한 전북혁신도시 5개 기관의 신년사에서는 균형발전이나 지역상생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공공기관으로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책임과 역할을 강조한 타 지역 혁신도시 기관장들의 신년사와 극명하게 대비된다. 해당 기관장들이 과연 국가균형발전 정책에 공감하고 있는지, 책임의식과 의지를 갖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물론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장들의 균형발전에 대한 공감대 부족, 책임의식 결여는 올 신년사에서만 나타난 게 아니다. 지난해 9월 전북도의회가 혁신도시 발전방향과 공공기관 2차 이전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한 전북도의회-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장 간담회에는 단 2명의 기관장만 참석해 지역상생의 자리에 아쉬움만 남겼다. 또 상당수 이전기관은 아직도 기관의 주요 행사를 서울에서 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형발전보다는 여전히 ‘서울 바라보기’에 열중하고 있는 셈이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급기야 지역소멸의 위기까지 닥친 지금,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상징으로 꼽혀온 혁신도시, 그리고 이곳으로 이전한 공공기관의 역할에 다시 관심이 쏠린다. 이제는 혁신도시의 취지를 살려 균형발전·지역상생을 선도하는 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자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