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가 우선" 전주시장 선거... 새 공약보단 묵은 과제 해결이 차기 전주시장 숙제

종합경기장·대한방직 개발·금융중심지·전주완주통합 모든 게 후퇴 상황
익산·완주의 견제와 갈등도 해결해야 전주 '대도시 도약' 가능 목소리 커
출마예정자, 묵은 과제 해결하려면 중심 잡고 갈수 있는 리더십 담보 필요

조지훈, 이중선, 우범기(위 왼쪽부터), 유창희, 임정엽(아래 왼쪽부터)

오는 6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시가 해결하지 못한 여러 난제의 해법 제시가 차기 전주시장이 풀어야 할 숙제로 떠올랐다.

전주시장 선거는 김승수 시장이 3선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조기 점화됐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개성이 뚜렷한 각각의 후보들이 전주시장 자리를 노리면서 손조차 댈 수 없었던 전주의 현안들을 어떻게 다룰지 귀추가 주목된다.

전주시는 전북의 중심 도시로서 전주의 발전이 곧 전북 발전의 기틀이 된다. 그러나 전주가 반드시 해결해야만 했던 전주종합경기장·대한방직 부지 개발, 전주·완주 통합은 물론 노후화된 전주시청사와 전주시외버스터미널 개선문제 등은 지금까지 단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전주시의 현안들은 전주만의 문제가 아닌 전북도, 인근 시‧군들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어 논의 자체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특히 지난 16년간 전북도와 전주시의 실질적인 대화와 협치가 거의 단절되면서 되레 후퇴한 현안들도 적지 않았다.

이번 전주시장 선거가 어느 때보다 초미의 관심사인 이유는 지금이 전주가 대도시로 도약하느냐, 소도시로 전락하느냐의 기로에 서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전주는 비슷한 규모의 다른 도시들이 통합과 발전을 거쳐 대도시로서의 발판을 만드는 동안 인근 자치단체의 견제에 막혀 그 규모가 확장되지 못했다.

그 결과 전북은 광역중심거점 기능이 미약하다는 이유로 교통망과 여러 시책에서 소외돼 왔다. 아울러 메가시티 조성 등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초(超)광역경제권 논의에서도 사실상 배제됐다. 전주가 케케묵은 과제들을 해결하려면 중심을 잡고 갈 수 있는 리더십 담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전주의 경우 주요 현안을 추진할 때마다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기보단 각각의 이권단체와 시민·환경단체, 다른 자치단체에 끌려 다니는 모습을 보여 왔다는 평가다.

이전 전주시장 선거의 주요 의제가 ‘경제 회복’과 ‘100만 도시 시대’로 압축된 것도 바로 이 같은 배경에 있다.

한편 조지훈 전 전북경제통상진흥원장, 우범기 전 정무부지사, 유창희 전 전북도의회 부의장,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 등은 지난해 이미 전주시장 출마선언을 마쳤다. 최근 민주당으로 복당한 임정엽 전 완주군수도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