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광주시에서 발생한 신축 아파트 외벽 붕괴 사고는 공사현장에서 안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일깨워준다. 정확한 사고 원인은 좀 더 조사하면 밝혀지겠지만 무리한 공사로 인한 또 한 번의 인재임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사고가 나서야 부랴부랴 안전점검에 나서는 모습을 언제까지 지켜봐야 하는지 답답한 노릇이다.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는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매년 건설업 재해자 수가 2만여건에 이를 정도로 재해 발생 빈도가 높다. 건설업 특성상 위험 요소가 많기도 하지만 기본적인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는다는 이야기다. 안전보다 속도를 중시한 업계의 잘못된 관행이 개선되지 않는 한 언제어디서든 광주 아파트 붕괴와 같은 사고는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전문가들은 광주 아파트 외벽 붕괴 사고가 무리한 공사와 불법 하도급이 원인을 제공했을 것으로 보는 것 같다. 실제 해당 아파트는 지난 2019년 5월 착공해 올해 11월 준공 예정이었지만, 사고 시점 공정률이 58%에 불과해 영하의 날씨에서도 무리한 작업을 진행했을 가능성 때문이다. 여기에 덤핑입찰 등으로 불량 레미콘이 납품되는 구조적 병폐가 이런 재해를 가져왔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광주 붕괴사고를 반면교사 삼아 이런 재해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동안 건설현장에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노력이 다각도로 이뤄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안전 취약계층인 고령근로자와 외국인근로자의 현장 투입이 증가하고, 건설구조물의 대형화와 고층화 등으로 사고 위험도 그만큼 높아지고 있다. 법적•제도적 장치가 미흡하다면 보완해야겠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안전의식을 강화하는 일이다.
전북도가 광주 사고를 계기로 전북에서 공사 중인 공동주택 건설현장 53곳을 대상으로 안전 점검을 실시키로 했단다. 점검사항은 구조붕괴에 취약한 동절기 콘크리트 타설 적정 여부, 타워크레인 등 현장 시설물의 안전 여부, 거푸집 동바리의 정품사용 여부, 현장 감리자 및 안전관리자 상주 여부, 비계의 설치상태 등이다. 형식적인 점검에 그치지 말고 이번 기회에 현장에서 어떤 문제가 있는지 꼼꼼히 살펴 야 할 것이다. 문제가 터졌을 때만 반짝 점검이 아닌 상시 점검 체계도 갖추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