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내 불법 주정차가 끊이질 않고 있다. 이렇다 할 주차장이 없는데도 관할 지자체는 개선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고, 혁신도시 조성 계획이 시작부터 잘못됐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17일 전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혁신도시 내 정주 인구는 2만 8996명. 혁신도시 조성 당시 전북도와 전북개발공사, LH가 수립한 계획인구 2만 8837명 대비 100.6%에 달하는 수치다.
또 농촌진흥청과 국민연금공단 등 12개 이전기관이 들어서 있다. 하지만 완주군 콩쥐팥쥐 도서관 주차장 외 이렇다 할 주차장이 없는 상황. 지난달 도서관 앞 노상 주차장이 설치됐지만 28면에 불과하다.
상황이 이러자 평일 점심시간이나 주말에는 불법 주정차가 당연시되고 있다. 특히 유동인구가 많은 평일 저녁에는 인도까지 올라와 주차하는 모습도 쉽게 볼 수 있다.
불법 주정차 단속 건수도 상당하다. 지난해 상반기 전북혁신도시 대방디엠시티 앞 단속 건수는 1197건, 인근 이서면 구역에서도 1664건이 단속됐다. 일부 구간에서만 하루 평균 16건가량 적발된 것이다.
이런 가운데 관할 지자체인 전주시와 완주군은 주차장 확충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다. 충북, 대구, 울산혁신도시 등이 정주 여건을 개선하기 위해 주차장 조성에 나서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현재 완주군은 토지주와 협의해 주차장을 조성하려고 한다지만 협의가 쉽지 않다는 입장.
전주시의 경우 주차전용 건축물 조성 부지 17곳을 개인에게 매각했지만 코로나19 등 경기 침체를 이유로 조성이 지연되고 있다.
토지주가 주차장을 조성한 뒤에도 수요가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공영주차장 조성에 나서겠다는 계획인데 이마저도 예산 부족으로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전주시 관계자는 “이미 매각된 토지를 매입해야 하는데 예산 문제로 인해 부지 매입이 힘든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혁신도시 조성 계획이 시작부터 어긋났다는 목소리가 높다. 계획 수립 시 지자체가 주차장을 미리 확보해야 했다는 것이다. 특히 소상공인 등 지역 상권을 보호하기 위해 대형마트 입점을 규제하고 있는데 주차장도 없이 상권 활성화에 나선다는 건 논리에 맞지 않다는 지적이다.
전북혁신도시에서 9년 동안 거주하고 있는 문 모 씨(46)는 “애초에 도시를 계획했을 때부터 주차장을 조성했어야 한 건데 그렇지 않아 시민은 물론 소상공인들까지 피해를 입고 있다”면서 “소상공인을 위해 대형마트도 입점하지 못하게 했는데 주차장까지 조성하지 않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고 하소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