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지선 ‘게임 룰’두고 도내정치권 주판알 본격화

민주당 공천경쟁 과열화로 때 이른 계산
지선은 6월이지만 4월이 최대 승부처 갈라
지선 입지자들 앞으로 100일 정도의 활동에 승부
이 과정에서 선대위 직함 남발 희소성 논란도

더불어민주당이 진보진영 통합과 ‘대사면’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탈당인사 복당신청이 마감되자 도내정치권이 본격적으로 주판알을 굴리고 있다.

표면적으로 공천을 위한 경쟁은 오는 3월 대선이후가 될 전망이지만, 사실상 4월에 공천 여부가 결정된다는 점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게임 룰’을 만들기 위한 전략싸움은 이미 시작됐다.

민주당 공천경쟁 과열화로 때 이른 계산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이 때문에 지방선거에 출사표를 던진 전북정치권 관계자들은 앞으로의 100일에 거의 모든 것을 걸고 진검승부에 임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 민주당 인사와 복당인사들의 룰 경쟁도 관전 포인트다. 경선에서 공천을 결정짓는 것은 결국 어떠한 원칙이 세워지냐에 있는데, 전북과 같이 민주당 공천이 당선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역에선 조금의 차이가 당락을 가르는 경우가 많다.

이번 지선에선 민주당이 복당 인사들의 페널티 우려를 상쇄하기 위해 고안한 ‘대선기여도’항목을 두고 치열한 논쟁이 예상된다. 특히 공직자선출직평가 등이 대부분 정량평가로 이뤄진 반면 대선기여도 항목은 정량평가가 어렵다는 점도 맹점으로 꼽힌다.

일부 복당인사들은 인지도에서 결정되는 여론조사 반영이나 대선기여도에서 자신에게 유리한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혈안이 돼 있다는 후문이다.

복당인사가 아닌 기존에 민주당 소속 지선입지자들 역시 수시로 국회를 오가며 자신이 보유한 인맥들을 만나면서 당에 대한 자신의 기여도를 어필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최고위원이나 다선의원 등 당내 실력자들과 가까운 인사들은 전북지역 경선 룰에서 복당인사와의 경쟁과정에서 ‘역차별’이 없도록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복당인사들은 자신의 조직을 활용 권리당원 모집과 선거운동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하고 있다. 민주당 경선에서 결정적 요인인 정체성과 당기여도, 신인가점 등을 고려하면 복당인사 대부분 정치신인이 아닌데다 탈당전력이 발목을 잡을 수 있어 그 어느 때보다 당원모시기 경쟁이 치열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복당인사들은 빠르게 민주당에 녹아들려고 하고 있지만, 전북도당은 물론 각 지역의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는 국회의원들과의 원활한 소통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는 각 지역위원장들이 이미 지원사격을 하고 있는 지선 입지자들이 존재하고 있는 때문이다. 민주당 공천경쟁이 대선 승리기여로 귀결되면서 선대위 직함이 남발돼 그 희소성에도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도내에선 정치과 큰 관련이 없던 일반인들에게까지 선대위 임명장이 전달되는 헤프닝도 발생하고 있다. 지역선대위 직함이 흔해지면서 공천심사과정에서 이를 어떻게 평가하느냐를 두고, 또 다른 논란이 생길 여지도 적지 않다는 평가다.

전북도내 주요 더불어민주당 복당인사

(순서 무순)

성명 주요이력 (전·현직 포함)
정동영 통일부 장관·열린우리당 의장·대통합민주신당 17대 대선후보·국회의원(4선·前)
유성엽  국회의원(3선)·정읍시장 (前)
김관영 국회의원(재선·前)
김세웅 국회의원(초선)·무주군수 (前)
김광수 국회의원(초선)·전북도의회 의장 (前)
김종회  국회의원(초선·前)
채이배 국회의원(초선비례·前)
고상진  민생당 전북도당 위원장·21대 익산갑 국회의원 후보 (前)
최형재 전주을 지역위원장·19-20대 전주을 국회의원 후보 (前)
정헌율 익산시장(재선·現)
임정엽 완주군수(재선·前)·전북도의원(前)
김종규 부안군수(재선·前)
이돈승  완주교육거버넌스 위원장
박용근 전북도의원(재선·現)
조형철 전북도의원(前)
박재완 전북도의원(前)
조계철 전북도의원(前)
이학수 전북도의원(前)
김종담 전북도의원(前)
이성일  전북도의원(前)
정진숙 전북도의원(前)
김연근 전북도의원(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