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전북도와 탄소복합재 물탱크 소방차 개발·실증 착수

소화수 용량 증량 3400L로 증대, 화재 초기대응 효과 증대
탄소복합재 적용 소방장비 신산업 개척·국산 탄소섬유 국내 시장 점유율 증대

중소벤처기업부와 전북도는 25일 탄소복합재 소화수탱크를 적용한 실증용 소방차의 안전성 검증을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실증은 기존 소방차에 적용된 물탱크 재질에 대한 규제를 해소해 화재 시 충분한 용수량 확보를 위함이다.

현재 소방자동차용 합성수지탱크 KFI(한국소방산업기술원) 인정기준에 따르면 소방차용 탱크 제조 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유리강화플라스틱(GRP)은 사용가능하나 탄소복합재는 사용할 수 없어, 탄소복합재 소방차용 탱크의 제작 및 상용화가 불가능했다.

탄소복합재로 만들면 가볍고 강도가 강하기 때문에 기존 물탱크 용량 3000L를 3400L까지 증대할 수 있고 동시에 기동력 향상에 도움 돼 화재 초기진압에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운행 실증은 올해 3월까지 군산 새만금주행시험장에서 진행되며 물탱크 필수검사와 병행해 차량의 전복 안정성 확인을 위한 최대 경사각 안전검사와 1만km 주행을 통한 신뢰성 검증 등을 실시하게 된다.

이후에는 도내 소방서 협조를 통해 실제 소방 환경에서 안정성 검증 및 화재 시나리오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를 바탕으로 KFI기준 개정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소방물탱크차 등 다양한 소방차 탱크에 탄소복합재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화재로 인한 국민의 생명 및 재산을 지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이번 소화수 탱크가 국산 탄소섬유로 제작된 만큼 상용화 시 그간 해외기업에 잠식되었던 국내 탄소섬유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전대식 전북도 혁신성장산업국장은 “탄소복합재를 적용한 소화수 물탱크가 개발되면서 소방특장차 제조에 대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 할 수 있게 되었다”며 “소방차 물탱크 재질에 대한 규제가 해소된다면 탄소산업과 특장차산업이 주력인 전북에서 선제적으로 소방산업을 이끌어 나갈 수 있어 지역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