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권 중심 스마트시티 정책.. 전북 '스마트 오지' 우려

정부 스마트 시티 공모 추진... 전북선 전주·익산·남원·정읍 참여
그간 대규모 도시 위주 계속 스마트시티 투자로 지역 소외 가능성
전북도 “2월 중 공모 결과 나올 것으로 시군과 협조해 공모 대응”

정부가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를 추진하는 가운데 관련 사업이 대도시권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소도시는 '스마트 오지'로 전락하게 했다는 비판이다.

24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지난해 국토부는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중·소도시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은 우수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전국으로 확산하고 자치단체의 사업역량을 강화해 주민 체감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간 스마트 챌린지 사업을 통해 전국 64개 도시에서 240여 개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실증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나 대부분의 중·소규모 도시들은 사업에 참여하기 어려웠고, 지역주민들의 체감도도 낮은 실정이었다.

따라서 국토부는 이번 사업에서부터 정부 주도의 보급사업에서 벗어나, 계획수립부터 솔루션의 구축·운영단계까지 서비스 이용자가 참여하는 주민 참여형 모델로 사업을 추진하고자 했다.

또 여기에 도시서비스 향상을 위해 주민이 도시문제를 찾고 상응한 솔루션의 구축계획과 성과목표를 정하게 되면 추진과정에서 정부·지원기관의 적절한 컨설팅도 지원받을 수 있게 했다.

전북에서는 지난 2016년 완주와 2018년 고창, 2019년 전주가 정부가 개발한 다양한 도시 상황 관리 및 스마트도시를 위한 기술을 보급하는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 사업 등을 진행했다.

그러나 사업 대부분이 스마트시티 사업 보편 및 활성화보다는 소규모 생활 밀접 중심으로 진행돼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 같은 내용에 전북도는 전주, 익산, 남원, 정읍 등 4곳의 지자체와 함께 이번 공모에 참여했다.

전주의 경우 주차장 스마트관리시스템 구축과 주변상가 스마트 주차권 발행 사업을, 정읍은 스마트 공유 주차장 및 스마트 버스 정류장 등을 사업으로 신청했다.

이 같은 사업들이 선정되면 향후 다양한 주민 체감형 스마트 시티 조성에 인프라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그간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이 특별시와 광역시, 수도권 지역 위주로 시행됐다는 점이다.

실제 세종은 지난 2017년부터 인공지능 기반의 도시를 컨셉으로 대규모 예산을 들여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를 구축 중이며 부산도 지난 2019년부터 데이터와 증강현실 기반 중심의 부산 에코델타 스마트시티(EDC)를 구축하고 있다.

그 밖에 경기도 부천과 대전광역시, 인천광역시가 민간기업과 함께 교통·에너지·환경·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추진하고 경남 통영과 부산시 수영구, 서울시 충남 부여군 등 지자체가 기성 도시의 스마트화를 촉진하는 스마트타운 챌린지 사업을 진행했다.

결국 이러한 실정에 일각에서는 이번 공모 역시 기존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한 대도시에 유리할 수 있지 않느냐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그간 중앙 중심으로 스마트시티 사업이 이뤄진 부분이 있어 이러한 내용을 중앙에 건의하고 있다”며 “오는 2월 중 공모 결과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시군과 함께 협조해 공모에 대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