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가 지난 25일 고강도 인적 쇄신책을 발표했다. 송 대표는 이날 예정에 없던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정치 교체를 위해 저부터 내려놓겠다”라면서 다음 총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5선 중진 의원에 당대표이자 586의 1세대로서 “기득권을 버리고 광야로 나가자”며 586 용퇴론을 공개적으로 제기한 것. 또한 서울 종로와 경기 안성, 청주 상당 등 3곳의 보궐선거 무공천과 지방의회 선거 2030세대 30%이상 공천을 약속했다. 국회 윤리심사자문위에서 제명을 건의한 윤미향 이상직 박덕흠 의원에 대한 신속한 제명처리와 지역구 4선 연임 금지의 제도화도 밝혔다.
앞서 민주당 김종민 의원이 한국 정치의 기득권으로 자리 잡은 이른바 586세대 용퇴론을 제기한 데 이어 이재명 후보의 최측근으로 불리는 7인회가 이재명 정부에서 임명직을 맡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이 후보를 성남시장 재직시절부터 도왔던 의원들로 정성호 김영진 김병욱 김남국 의원 등 7명이다.
대선을 앞두고 갑작스러운 민주당의 인적쇄신 바람은 이재명 후보의 지지율 정체로 인한 대선 위기감에서 비롯됐다. 이 후보의 지지율이 30% 후반대의 박스권에 갇혀 있는 반면 상대 윤석열 후보는 김건희씨 녹음 파일 등 여러 악재에도 불구하고 반등세를 보이기 때문이다. 이에 민주당으로선 등 돌린 2030세대와 중도층, 반문재인과 정권교체 여론, 이재명 후보의 비호감 정서 등을 극복하려면 극약처방이 불가피한 만큼 고육지계 차원에서 인적 쇄신론을 꺼내 들었다. 이반된 민심을 되돌리려면 대대적인 인적 쇄신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재명 후보도 26일 민주당의 인적 쇄신 발표에 이어 정치 쇄신 방안을 밝혔다. 이 후보는 위기 극복을 위한 국민 내각, 통합 정부 구상을 밝히고 “정파와 연령에 상관없이 국민을 위해 꼭 필요한 인재라면 폭넓게 등용해 완전히 새로운 내각을 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어 “30·40대 젊은 장관을 적극 기용해 역사장 가장 젊은 내각을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야당인 국민의힘에서 여당발 인적 쇄신론에 섣부른 대응을 금하고 있다. 김기현 원내대표는 소속 의원들에게 인적 쇄신론에 대한 개별적인 언급이나 대응을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자칫 민주당발 인적 쇄신 프레임에 휩쓸릴 경우 대선 정국의 주도권을 잃게 되고 대선 판도에도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민주당의 인적 쇄신론이 과연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느냐다. 위기 극복을 위한 일시적 이벤트에 그친다면 더 큰 후폭풍에 휩싸일 수 있다. 민주당은 대선뿐만 아니라 곧바로 이어지는 지방선거와 총선까지 전면적인 인적 쇄신을 통해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
/권순택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