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차 업체인 기아의 일방적인 중고차 매매업 진출 시도를 규탄하고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할 것을 결의합니다”
중고차 매매사업자 단체인 전북자동차매매사업조합은 26일 정읍시청 앞에서 현대차와 기아의 자동차매매업 등록 신청을 규탄하는 결의 대회를 열었다.
이날 조합은 긴급 성명을 발표하고 대기업인 기아가 정읍시에 자동차 매매업 등록 신청을 한 것에 대해 “소비자 후생이라는 거짓된 명분으로 도내 30만 소상공인 가족의 생계를 위협하는 행태”라며 깊은 유감을 표명했다.
조합은 “현대차 등에서 신차 보증기간이 대부분 적용되는 5년 또는 10만km 이내 차량만 인증 중고차로 판매한다는 논리가 결국 중고차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의 부담이 증가하는 꼴이 될 것”이라며 강하게 규탄했다.
조합은 이번 사안에 대해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출은 중고차 가격 상승이라는 소비자 피해로 귀결될 것”이라며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입은 절대 수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중고차 매매는 신차보다 30% 이상 거래량이 늘어 완성차 업체가 눈독을 들이는 시장이 됐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1년 국내 중고차 거래 대수는 전년보다 7.2% 늘어난 387만 4304대로 집계돼 전체 시장 규모가 26조 3000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성장했다.
현대글로비스는 온라인 중고차 중개 플랫폼인 ‘오토벨’을 론칭하며 중고차 시장 진입에 채비를 갖췄다.
상황이 이렇게 전개되면서 중고차 업계는 “정부가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을 사실상 허용한 것 아니냐”며 볼멘소리를 냈다.
소비자들 사이에는 중고차 시장에 대기업이 진출함으로써 오히려 선택권과 투명성이 높아지는 등 여러 이익이 있을 것이라는 시각이 팽배한 상황.
류형철 조합장은 “중고차 시장의 개선은 법적 제도 개선을 통해 소비자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이지 특정 대기업의 진출이 정답이 아니”라며 “국회에 계류 중인 자동차관리법 일부개정법률안(홍기원 의원 대표 발의)의 조속한 통과와 시행만이 문제의 해결책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