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청소년들의 마음을 바꿀 수 있는 것은 꾸지람 보다는 칭찬을 통한 교육이 제일 중요합니다.”
강승구(61) 전주보호관찰협의회 위원(원광대학교 경영학부 초빙교수)의 말이다. 강 위원은 3년 전부터 현 전주보호관찰협의회 김성봉 부회장의 소개로 보호대상 비행 청소년들과 인연을 맺었다.
비행 청소년들과의 첫 만남은 순탄치 않았다. 온몸에 문신을 한 청소년들을 지도하려하면 그들은 강 위원을 경계했다. 약속을 어기기도 하고, 모진말로 강 위원의 마음을 상하게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강 위원는 포기하지 않았다. 청소년들의 마음이 열리길 기다리면서 2~3개월간 이들에게 더욱 다가가기 위해 노력했다.
강 위원은 “청소년들을 처음 만났을 때 상처도 받고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면서 “마음을 상하는 일도 많았지만 그들의 마음을 이해하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친밀감을 형성한 후 강 위원은 이들 청소년들에게 학업을 포기하지 않도록 노력했다. 검정고시 수학과목을 지도하면서 정상적인 사회인으로서 소양을 가질 수 있게 용기도 복돋아 줬다. 그 결과 보호관찰 학생 3명을 고졸 검정고시에 합격시켰고, 올해는 2명의 청소년이 대학교에 진학하는 등 건전한 시민으로 사회에 복귀했다.
강 위원이 이렇게 비행 청소년들에게 각별한 관심을 쏟는데는 이유가 있다. 익산에서 태어난 그는 과거 고등학교를 다니면서 불량 청소년들과 어울렸다. 자연스럽게 방황으로 이어졌고, 이후 많은 후회를 했다고 한다.
그는 “고등학교 2학년때 많은 방황을 한 후 과거를 반성했었다”면서 “청소년 시기의 중요성을 많이 알기에 지금의 아이들을 보면 감싸주고 싶은 생각이 많다”고 했다.
강 위원은 또 30여년 전부터 정기적으로 장학활동과 불우이웃돕기 성금 기부도 행하고 있다.
강 위원의 선행과 활동은 지역사회를 넘어 전국에서 알려져 지난 19일 법무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그는 “사회에서 비행 청소년들을 너무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많아 아쉽다”며 “청소년기 아이들은 얼마든지 변할 수 있다. 조금더 아이들을 이해해주고, 칭찬을 통해 바람직한 길을 제시한다면 사회의 한 일원으로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