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생형 지역 일자리’ 성공적 안착을 기대한다

문재인 정부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국정과제의 하나로 지난 2019년 2월 ‘상생형 지역 일자리 모델 확산 방안’을 발표했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보조금·자금지원, 세제혜택, 국·공유지 임대료 감면, 도로ㆍ용수 등 인프라 구축, 정주여건 및 근로환경 개선 등 맞춤형 패키지를 제공하는 지역 일자리 모델로, 근로자와 기업·주민·지자체 등 지역의 경제주체가 새로운 경쟁력 요소를 발굴하고 이를 기초로 신규투자와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사업이다. 지난 2019년 1월 닻을 올린 ‘광주형 일자리’가 원조로, 비수도권 지역의 노·사·민·정 연대와 협력에 기초해 각 주체의 역할을 규정한 상생협약을 토대로 추진된다.

설 연휴 직전인 지난달 27일 전주와 익산, 그리고 충남 논산 등 3곳에서 ‘상생형 지역일자리’를 위한 노·사·민·정 협약이 체결됐다. 익산에서는 지역 농가와 식품기업 등이 농식품산업을 육성하고, 전주에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탄소섬유 산업 육성에 나선다. 현재까지 성사된 상생형 지역일자리 협약은 전국에서 총 12건에 이른다. 전북지역의 경우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된 군산(2019년 10월)에 이어 이번에 전주와 익산이 포함되면서, 모두 3개 지역에서 지역일자리 모델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 지역경제 위기 상황에서 전북을 대표하는 3개 도시에서 모두 지역일자리 사업을 가동했으니 전북도민의 관심과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지역 균형발전 국정과제로 시작된 이 프로젝트는 지역의 경제주체들이 사회적 합의를 통해 우리 경제의 새로운 일자리 모델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정권 말기에 들어서면서 우려도 속속 나오고 있다. 사업 모델이 전기차 등 특정 업종에 편중돼 자칫 과잉투자 가능성이 있고, 시장보다는 행정 중심의 사업틀을 유지하고 있어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미 우리 사회가 이 프로젝트의 취지와 목표, 추진절차에 합의한만큼 우려되는 문제점들은 노·사·민·정이 머리를 맞대고 해결방안을 함께 찾으면 된다.

특히 상생형 지역일자리는 궁극적으로 지역 균형발전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기업·주민 등 지역사회가 역량을 모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