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미촌이 여성인권의 공간으로 변화하길 바랍니다."
전주시사회혁신센터 성평등전주 조선희(56) 소장의 바람이다. 조 소장은 선미촌을 문화예술마을로 바꾸는데 앞장선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3일 국민포장을 받았다.
1987년 전북대학교를 졸업한 그는 대학생활을 하며 여성인권에 관심을 갖게 됐다.
그는 “당시 여성 노동자는 사회적 약자라는 인식 때문에 3중, 4중으로 억압을 받는다는 것을 알게 됐다”면서 “대학 졸업 후에도 인권운동 계속하면서 1997년에 '기독살림여성회'라는 단체를 만드는데 함께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조 소장은 기독살림여성회에서 활동하며 무주, 익산, 고창, 남원 등 전북 각지에 퍼져 있는 할머니들을 직접 찾아다니며 자원봉사를 하거나 명예회복을 위해 힘썼다. 특히 지역 최초로 위안부 할머니들의 증언집을 만들기도 했다.
그는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해 해온 활동 중 지난 2000년 위안부 할머니 3명과 함께 일본 도쿄의 모의 법정에 섰던 것을 잊지 못한다고 말했다.
조 소장은 “아시아권 성노예 피해자들이 모이는 도쿄에서 각국의 피해자들이 마음 깊히 갖고 있던 고통과 상처를 나누는 모습을 보며 이 문제가 개인적인 것이 아닌 아닌 사회적인 문제라는 것을 알게 됐다“면서 “할머니들이 당당하게 법정에 서서 피해를 호소하는 모습을 보면서 느끼는 바가 컸다”고 말했다.
조 소장이 바라는 여성인권운동가로서의 최종 목표는 성착취의 공간이었던 선미촌이 앞으로는 여성인권의 공간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그는 “과거 선미촌의 밤은 성을 구매하려는 남성들이 모이는 공간이었는데 최근에는 모든 시민이 찾을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변화해 감동적이었다”면서 “앞으로는 이곳이 여성의 목소리를 듣고 그 목소리를 반영하는 인권의 공간으로 발전했으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