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스포츠 현장의 발전적 미래를 위해 부끄러운 과거를 들추어 내놓고 속죄하고 반성하고자 조심스럽게 펜을 들어본다.
7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빠따(?) 문화가 삶의 현장 곳곳에 자리 잡고 있었다. 군대에서도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정말 다양한 곳에서 폭력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생 때 선생님의 출석부 모서리로 안 맞아본 학생이 과연 몇이나 될까?
자를 세운 딱딱한 모서리로 손등 맞아본 친구들도 부지기수 일 것이다.
군대 상관이나 선임자에게 무릎 정강이 안 맞아본 군인들도 얼마나 될까?
나는 75년도 고3 때 태릉 국가대표선수촌에 훈련파트너로 입촌하였다.
우리 대한민국 건국 이후 최초의 올림픽 금메달을 우리 조국에 선사한 자랑스러운 양정모 선배가 캐나다 몬트리올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할 수 있도록 스파링 파트너로서 일조를 하였다는데 무한한 자부심을 갖는다.
태릉선수촌에 막내로 입촌하다 보니 후배는 한명도 없고 하늘같은 선배님뿐이었다. 그중에 전북출신으로 레슬링계를 평정한 안한영, 백승현, 김영준, 배기열, 강용식 등 기라성 같은 선배와 엄격한 상하 관계 속에서 무조건 상명하복이었다. 심지어 선배는 하나님과 동격이라고 배우며 성장했다.
그리고 거의 매일 선배님의 꾸지람과 혼냄의 연속이였고 그땐 그것이 스포츠 현장 문화의 일부분이었고 선배님들의 사랑이었으며 참고 이겨내야만 운동을 잘 할 수 있다는 생각이 선수나 지도자에게 지배적이었던 것 같다.
어찌 보면 훈련이나 부상보다 빠따(?)를 견디지 못해 운동을 포기한 동료들도 있었다. 심지어 몽둥이로 너무 많이 맞아서 때리는 선생님의 바짓가랑이를 붙잡고 애원하다가 기절하는 선수를 눈앞에서 목격하기도 했다.
70년대 후반 일본 도쿄에 있는 고쿠시간 대학교에 전지훈련 갔을 때 필자는 현지에서 생일을 맞이했다.
생일날 미역국에 따뜻한 축하와 사랑을 받아도 부족할 판에 생일날 빠따라니? 매일 두들겨 맞으니 생일날도 건너뛸 수가 없었다.
생일날 매를 맞고 너무 서러워서 합숙소 꼭대기에 올라가 서쪽하늘을 바라보며 하늘나라에 먼저 가신 어머니를 부르며 목 놓아 울어도 봤다.
어머니! 외국 땅에서 생일날 빠따맞는 자식을 왜 낳으셨나요?
너무나 서러웠다 우리나라 하늘을 바라보며 펑펑 울던 기억이 생생하고 지금도 그때 그 기억을 소환하면 마음이 먹먹해온다.
폭언 폭력은 다반사이고 인권이라는 말은 들어보지 못한 단어 중 하나다.
선배님들의 빨래와 숙소 청소 피로회복을 위한 마사지 각종 심부름 등 지금 같으면 상상하기 어려운 일들을 도맡아 했으며 빨래는 한 겨울에 연탄불에 끊인 물로 손빨래해서 짤순이(당시:탈수기)를 돌려서 라디에이터에 널어서 다음날 운동할 수 있도록 각 잡아서 선배님들을 드려야 했다.
혹시 라디에이터 위에 빨래가 뜨거워서 누렇게 변색이 됐다 하면 그날도 어김없이 매 맞는 날이다.
글을 쓰면서 그때를 생각하면 입가에 미소가 지어진다.
40-50년이 흐른 지금의 스포츠 현장은 어떤가?
단언컨대 진천 국가대표선수촌과 스포츠 현장에는 폭행, 폭언, 기합, 빠따, 청소, 빨래는 물론 잔심부름조차 없어졌다.
인권이 살아 숨쉬는 스포츠 현장 뒤엔 꼭 인권이 존중되어야 한다.
국가대표처럼 생각하고, 국가대표처럼 행동하고, 국가대표처럼 최고가 되는 삶을 살아가자!
/유인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