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진자 폭증으로 지난 3일부터 코로나19 진단·검사 체계가 달라지고 10일부터는 셀프 채택치료가 도입되는 등 방역체계가 개편됐지만 일선 현장에서는 불편과 혼선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신속 항원검사와 관련한 불만과 불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촘촘한 대책 마련없이 서둘러 방역체계 전환에 나선 것은 아닌지 따져봐야 할 문제다.
정부는 확진자 폭증으로 코로나19 방역관리가 한계에 도달했다고 판단해 신속 항원검사를 도입했다. 기존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대상을 60세 이상 고령자와 밀접접촉자 등 고위험군으로 한정시키는 대신 가까운 병의원 이용과 자가진단을 통해 1차적으로 쉽게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방역당국의 PCR 검사량 부담과 시민들의 선별진료소 대기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나타났지만 불편이 적지 않다.
신속 항원검사를 위한 자가진단키트 구입 애로가 현재 직면한 가장 큰 문제다. 과거 마스크 대란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코로나19 확진자 폭증 속에 불안한 마음에 자가검사를 위해 진단키트를 구하려는 시민들이 크게 늘고 있지만 구입이 쉽지 않다. 약국마다 하루 20~30개의 자가진단키트 물량 밖에 공급되지 않아 약국 문을 연 뒤 1~2시간이면 동이 난다고 한다.
일선 병의원에서 진행되는 코로나19 신속 항원검사 비용이 천차만별인 것도 불만 요인이다. 정부는 신속 항원검사 비용을 일반 의원 5000원, 병원 6500원으로 정했지만 최대 3만원을 요구하는 병원도 있다. 병원에 따라 코로나19 증상 유무, 확진자와의 밀접접촉 여부, 무증상 등에 따라 1만원~3만원까지 서로 다른 검사비용을 요구하거나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평일과 주말 검사비용을 다르게 받는 곳도 있다고 한다.
입원환자 보호자의 PCR 검사비용 부담에 이어 천차만별인 병원의 신속 항원검사 비용 등은 정부의 방역정책에 대한 불신을 부르는 일이다. 정부는 이번 주말까지 1000만명 분의 자가진단키트를 전국 약국과 온라인 쇼핑몰에 공급한다고 한다. 앞으로 60세 미만 국민들에게는 자가진단키트를 무상으로 나눠주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한다. 정부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기 전에 서둘러 대책이 시행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