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전주종합경기장에 조성키로 한 전체 5개 숲 가운데 가장 먼저 조성될 `정원의 숲` 설계용역안이 지난 10일 공개했다. 시는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달 착공에 들어가 올 연말까지 `정원의 숲`을 조성할 계획이란다.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는 셈이다. 그러나 전주종합경기장 개발 방향에 대한 논란이 완전히 정리되지 못한 데다 차기 시장 후보들이 저마다 다른 해법을 내놓고 있는 상황에서 사업 착공을 서둘러야 하는지 의문이다.
10년 가까이 개발방향을 놓고 논란을 벌였던 전주종합경기장 개발사업은 김승수 시장이 지난 2019년 ‘시민의 숲 1963’ 프로젝트를 발표하면서 공원과 문화, 상업, 컨벤션시설 등을 조성하는 내용으로 정리됐다. 종합경기장터 3만 7000평 중에서 7000평은 롯데에게 임대하고 나머지 3만평 부지를 시민의 숲과 컨벤션 센터, 호텔로 조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번 밑그림이 완성된 `정원의 숲`은 부지 8000㎡에 3개의 테마 숲을 조성하는 것으로 설계됐다.
공개된 `정원의 숲` 설계안은 전문가 식견을 모으고 시민 의견수렴을 거쳐 만든 것이어서 검증이 이뤄졌을 것으로 본다. 전주의 시간과 시민들의 추억이 쌓인 곳을 시민과 어린이가 함께하는 어울림의 정원으로 만드는 데 중점을 뒀다는 전주시 설명이 아니더라도 숲 조성만으로 친환경, 친시민적 공간활용이라는 점을 평가받을 수 있다. 그러나 전주종합경기장 전체 그림이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부 사업을 진행하다 번복될 경우 사업 혼선과 예산낭비 등의 문제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실제 전주시 종합경기장 개발계획은 민간이 추진하고 있는 대한방직 부지 개발과 일부 중복 사업이거나, 민간의 영리시설 대신 시민 편익과 공공시설을 조성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금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더욱이 종합경기장 개발 관련 사업이 신규 사업으로 지방재정 중앙투자심사를 받고 있어 심사를 통과하지 못할 경우 개발계획이 원점으로 돌아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종합경기장 개발과 관련해 통합시청사와 복합시설, 시외·고속버스터미널 등을 입주시키겠다는 등 재설계를 주장하는 시장 후보들도 나오고 있다. 불요불급하지 않다면 시장 임기 말년에 새 사업의 시작은 차기 시장에게 넘기고 자제하는 게 맞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