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시내 주요 도로를 10분 간격으로 빠르게 관통하는 간선버스가 운행된다.
13일 전주시에 따르면 소양·상관·구이 방면으로 확대되는 전주-완주 지간선제 2단계 노선개편이 시행되는 오는 19일부터 도심 주요 축과 간선도로를 10분 배차 간격으로 연결하는 간선버스가 10개 노선(102대)에 배치된다.
새롭게 선보이는 간선버스 노선은 △1000번대(2개 노선) △2000번대 △3000번대(2개 노선) △4000번대 △5000번대(2개 노선) △6000번대(2개 노선)의 10개 노선으로, 주요 도로만 달리기 때문에 정확한 배차 간격을 지키고 환승을 하더라도 빠른 이동이 가능한 것이 장점이다.
우선 전주 남·북을 연결하는 노선의 경우 우석대에서 출발해 기린대로와 팔달로를 경유해 평화동까지 달리는 2개 노선(1001번, 1002번)이 운행되고, 동부대로와 백제대로를 경유하는 2000번 노선과 가련산로와 홍산로를 경유하는 3000번대 2개 노선(3001번, 3002번)이 운행된다.
또한 동서를 연결하는 노선으로는 전주대를 출발해 서원로와 충경로, 아중로를 거쳐 전주대로 되돌아오는 4000번 노선이 전주를 달린다.
전주 구도심과 신도심을 연결하는 순환 노선의 경우 전주대에서 출발하는 5000번대 2개 노선(5001번, 5002번)과 비전대에서 출발하는 6000번대 2개 노선(6001번, 6002번)이 신설됐다.
시는 간선버스 도입에 발맞춰 중간시간표를 도입해 정시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고,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의를 높이기 위해 전 노선에 저상버스를 배치키로 했다.
이강준 전주시 시민교통본부장은 “간선버스와 일반 버스의 새로운 시내버스 노선체계가 구축되는 이번 노선 개편은 더 효율적이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로 새롭게 변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이번에 신설된 간선버스는 환승을 하더라도 정확한 배차 간격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시민 여러분의 많은 이용을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