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문화전당, 장인 12명의 공예기술 담은 아카이브 구축

‘천년의 빛과 바람’ 아카이브 전시도 진행

한국전통문화전당(원장 김선태) 전주공예품전시관이 장인 12명의 공예기술을 담은 아카이브 구축을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장인 아카이브 구축은 지난 2017년 시작된 ‘전주 전통의 맥 아카이브 구축 사업(이하 아카이브 사업)’으로 장인의 기술 명맥 유지를 목적으로 장인의 생애, 공예기술, 도구, 작품 등 자료를 수집하고 아카이브 구축하는 사업이다. 

아카이브는 데이터 보관해 두는 것으로, 오랜 세월 동안 보존해 두지 않으면 안 되는, 가치가 있는 자료를 기록하고 그것을 관리하고, 손쉽게 검색할 수 있도록 모아 둔 파일을 의미한다.

한국전통문화전당 전주공예품전시관은 지난해 장인 2명의 아카이브를 추가해 현재 장인 12명에 대한 자료조사와 아카이브 구축을 모두 마쳤다. 추후 공예기술을 보유한 모든 전라북도 무형문화재의 아카이브를 제작할 예정이다.

현재 아카이브가 구축된 장인은 △침선장 최온순 △악기장 최동식 △한지발장 유배근 △색지장 김혜미자 △우산장 윤규상  △배첩장 변경환 △소목장 故김재중 △악기장 고수환 △단청장 신우순 △옻칠장 이의식 △전주 나전장 최대규 △선자장 방화선 등 총 12명이다.

최대규 나전장
방화선 선자장

한국전통문화전당은 장인의 사진, 문서 등 기록물을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디지털화뿐만 아니라 공예기술 시연 과정을 촬영해 영상 기록물까지 아카이빙한 상태다.

김선태 한국전통문화전당 원장은 “아카이브를 통해 우리 고유의 기술을 기록하는 것은 우리 민족성과 주체성을 기록하는 일”이라며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공예 문화를 후대에 전하는 일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전주공예품전시관은 3월 3일까지 지난해 제작된 방화선 선자장, 최대규 나전장의 작품과 아카이브를 선보이는 전시회 ‘천년의 빛과 바람’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김혜원 공예문화산업팀장은 “전주는 다른 지역에 비해 예능인이 많아 예향의 도시라고 불린다”며 “손의 도시 전주가 그 명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공예의 역사를 기록하고 보존하는 일에도 소홀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아카이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jeonjucraft.or.kr)의 공예 DB를 통해 e-book과 동영상으로 열람할 수 있다. 자세한 사항은 전주공예품전시관 공예문화산업팀 전화(063-281-1610)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