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대 초 시작된 급격한 출산율 저하, 최근의 최저임금 인상, 52시간 근로시간제 도입에 따라 노동인력 부족과 인건비 부담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소규모 자영업자들은 사람 구하기가 어렵거니와 비용부담으로 가족이 직접경영을 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주문이나 배송 같은 비핵심 업무는 온라인이나 비대면 방식으로 급격히 전환되고 있다. 패스트푸드점을 필두로 매장내 주문은 이미 비대면주문 방식인 키오스크로 전환된 지 오래고 거기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모바일 주문이 일상화 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디지털기기에 익숙지 않은 준비되지 못한 기성세대에게는 또 하나의 디지털 격차를 만들어 내고 있지만,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대세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은 디지털 기술로 기존의 경제사회 전반의 프로세스, 문화, 경험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창출하는 과정이며, 기존의 프로세스를 재구성함을 의미한다. 한편 상업적 거래에 있어서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거래를 디지털커머스라고 부른다. 새로운 기술 트랜드에 익숙치 않는 소상공인 입장에서는 주문과 배송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플랫폼기업에 의존하게 되고 그러다 보니 지역의 소상공인에게 돌아가는 수익의 몫은 크지 않는 듯하다. 전주, 군산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배달앱을 통한 소상공인의 부담을 줄여 주는 노력을 하고 있지만, 궁극적인 해결책은 되지 못한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소상공인 스스로 디지털기술을 적용하여, 홍보, 주문, 판매, 배송 등을 온라인 매체를 활용하여 스스로 하게 하는 것이다.
최근 1인 미디어를 활용한 모바일 마케팅이 지역의 소상공인에게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문제는 소상공인 입장에서 콘텐츠 제작 환경 구축이 쉽지 않고, 제작 능력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전주역 맞은편 첫마중길 인근에 전북AR․VR거점센터(JVAR)라고 있다. 주로 디지털기술을 이용한 1인 미디어 또는 컨텐츠 작성에 필요한 교육과 AR,VR 제작시설, 편집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전주시는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함께 옛 청소년자유센터를 개조하여 농식품, 패션, 지역특화상품 등 분야별 실시간 컨텐츠 제작 및 온라인 주문에 필요한 독립적인 지원센터를 조만간 오픈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실시간 방송을 위한 전문 스튜디오, 컨텐츠 제작에 필요한 각종 음향 및 영상제작 시설, 교육장, 커뮤니티 환경을 갖추고 지역의 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매활동을 지원한다. 지역의 방송, 결제, 배달서비스 기업과 협업하여 소상공인의 애로를 해결하는 원스톱서비스 제공도 추진할 예정이다.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신산업 기업 유치, 창업 및 벤처 활성화에 열심이다. 이에 못지않게 중요하면서도 시급한 일은 기존산업의 디지털혁신이다. 1인 미디어를 활용하면, 지역의 소상공인은 지역의 특산품이나 제품의 판로를 대면방식에서 온라인으로 확장이 가능하고, 또 지역적인 한계를 넘어서 해외까지 판매를 확대할 수 있다. 문제는 소상공인 스스로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의지가 있어야 한다. 또 스스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비즈니스를 새롭게 전환하려고 하는 실행능력을 갖추어야 가능하다. 디지털커머스 지원센터를 통하여 지역의 대부분의 생산을 책임지는 소상공인 및 소기업의 디지털전환이 가속화 되기를 기대한다.
/이영로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