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의 정읍 역사 인물로 태인 출신 독립운동가 ‘김진호’, 가사 문학의 효시 상춘곡의 저자 ‘정극인’이 선정됐다.
시에 따르면 동학·의병·호국 분야에서 선정된 김진호(1891-1945)는 정읍시 태인면 태흥리 출생이다.
1919년 3월 16일 태인 장날에 김현곤, 박지선, 송수연, 송한용 등과 함께 군중이 장터에 모이자 태극기와 독립선언문을 나누어 주고 독립 만세를 외치며 거리를 행진하는 시위를 벌이다 일본 헌병에 체포됐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되었으며, 2016년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안장됐다.
문화예술·기타분야에 선정된 정극인(1401-1481)은 경기도 광주 두모포리(현 서울 옥수동) 출생이다.
1437년 세종의 흥천사(興天寺) 사리전 창건 명령의 부당함을 항소하다가 왕의 노여움을 사 귀양을 갔으며, 귀양에서 돌아와 처가가 있는 태인 고현내(현, 칠보)에 초가삼간을 짓고 이름을 불우헌(不憂軒)이라 하고 안빈낙도 생활을 했다.
과거에 응시 문과에 급제해 여러 관직을 거치고 1470년 70세에 태인으로 돌아와 제자를 가르치고 1475년 ‘동중향음주’라는 친목계를 만들어 향리의 교화에 힘썼으며 우리나라 최초의 향약인 ‘고현동 향약’의 시초를 만들었다.
최초의 가사작품 ‘상춘곡’, 모두 우리말을 사용한 ‘불우헌가’,‘불우헌곡’을 지었으며, 현재 칠보 무성서원에서 배향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