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통합 대통령

대한민국을 이끌어 나갈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됐다. 이번 제20대 대통령은 그 어느 때보다 막중한 책무를 걸머지고 있다. 세계 강국의 패권 경쟁 속에서 외교 안보와 경제, 기후위기 문제 등 국내외적으로 대한민국이 당면한 현실이 매우 엄중한 상황이기에 대통령으로서 역할과 리더십이 요구된다. 특히 반도 국가라는 지정학적 위치에다 총성 없는 글로벌 경제전쟁, 중국의 팽창과 북핵 문제 등으로 우리의 앞길은 순탄치만은 않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려면 무엇보다 국민 통합이 중요하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도 보듯이 우크라이나 국민의 통합된 힘으로 결사항전에 나서면서 예견하지 못한 국면을 맞고 있다. 우리도 미국과 중국의 패권 다툼 속에 국가 안보와 경제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실리를 추구하면서 균형을 유지해왔다. 하지만 북핵과 사드 문제 등 안보 변수로 인해 우리의 입지가 좁아지는 것도 현실이다. 이러한 국가적 어려움을 타개해 나가려면 외환위기 때처럼 온 국민의 마음을 모으고 통합된 힘으로 대처해야 한다.     

하지만 이번 대선 국면에서 각 정당과 후보 진영은 사생결단식 선거전을 펼치면서 국민의 마음을 갈라놓았다. 진보와 보수 진영은 더 극단으로 치우치고 다시 지역주의를 조장하는가 하면 세대와 계층 간 대립은 더 심화했다. 여기에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으로 젠더 갈등을 촉발하더니 급기야 이대남 이대녀 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하면서 성별 갈라치기도 노골화됐다.

이래서야 나라가 온전할 수 있을까 하는 국민들의 걱정이 크다. 여야 후보 모두 출사표를 내걸 땐 “편 가르지 않는 통합대통령” “국민통합의 나라”를 표방했다. 하지만 이것은 빈말에 불과했다. 예측불허의 초초박빙의 선거전을 치르면서 말투는 격해지고 편 가르기와 갈라치기는 더 심해졌다. 억지 주장과 흑색선전 등 네거티브도 난무하면서 국민을 오도하기도 했다.  

문재인 대통령도 취임 첫 메시지로 ‘국민통합’을 내걸었다. 취임식에서 국민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다짐했지만 여야 간 정쟁은 더 격해지고 진영 간 갈등은 더 첨예해졌다.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 20대 대통령은 국민통합 대통령으로 역사에 기록되기를 바란다. 정치 보복이나 제왕적 국정 운영을 지양하고 정파를 떠나 국정 운영의 동반자로서 서로 협치하는 통합의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진영이나 지역, 세대와 계층, 젠더 갈등을 치유하고 회복하는 일을 우선해야 한다. 국민의 마음을 하나로 모을 때 안보와 경제 위기도 극복하고 나라다운 나라로 더욱 든든히 서갈 수 있다. 취임 때뿐만 아니라 떠날 때도 국민에게 박수받는 국민통합 대통령이 되길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