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소방본부, 산림 인접지역 비상소화장치 수요조사

도내 311곳 대상⋯3월 말까지 실시

전북소방본부 현판 /사진=전북일보 DB

전북소방본부가 산불 발생에 대비해 산림에서 100m 이내에 인접한 마을을 대상으로 비상소화장치 설치 대상 수요조사에 나선다. 화재 발생 시 소방력 도착 전 비상소화장치를 통해 주민 자율 진화체계 구축을 위해서다.

21일 전북소방본부에 따르면 도내 산림은 138곳이며, 이 산림에 311곳(1만 3024가구)의 마을이 인접해 있다. 지난해 해당 산림에서 30건의 산불이 발생해 1명이 사망했고, 소실된 산림은 6.5㏊에 달했다.

특히 봄철은 건조하고 강풍이 불어 대형 산림화재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최근 발생한 울진∙삼척 산불로 인해 인근 마을에 위치한 시설물 512동(주택 343채)이 소실되는 등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소방력 도착 전 화재피해 예방을 위해 비상소화장치를 통한 주민 자율 진화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북소방의 설명이다.

소화장치함, 소방호스, 소화전 등으로 구성된 '비상소화장치'는 화재발생 초기 소방력 도착 전 효과적인 초동대응을 할 수 있는 시설이다. 특히 소방차 진입이 곤란한 산림이나 골목에서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제 지난 2019년 산림 1260㏊를 잿더미로 만들고 1366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군 산불에서 '홍와솔' 마을은 마을 자체 경비로 설치한 비상소화장치를 활용해 마을을 지켜낸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북소방본부는 이달 말까지 비상소화장치 설치 대상 수요조사에 나선다.

소방청 주관으로 실시하는 이번 조사는 신규설치, 기존소화전 활용, 상수도 미설치 지역으로 구분해 이뤄진다.

대상 선정기준으로는 산림과의 거리 외에 지역특성, 기상상황, 주변 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 아울러 주택 화재 발생시 산림 확산 위험성도 고려해 위험지역 대상지를 선정하게 된다. 

소방 관계자는 “이번 수요조사를 통해 우선순위를 파악한 후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소방청과 도 관련부서와 협조해 필요한 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