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국내 의료기기 선도기업과 바이오 클러스터 ‘맞손’

메카노 바이오 연구센터 시설·장비 활용 및 기술이전 업무협약

전주시가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 전북대학교, 국내 6개 바이오 의료기기 업체들과 ‘전북대 바이오 시설·장비 활용 및 기술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사진제공=전주시

전주시가 미래먹거리인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 육성을 위해 전북대학교, 국내 6개 바이오 의료기기 업체들과 손을 맞잡았다.

김승수 전주시장과 김동원 전북대학교 총장, 채수찬 전주시 바이오 헬스케어 추진단장, 김학용 전북대 메카노 바이오 기술융합연구센터장, 유현승 ㈜시지바이오 대표 등 6개 의료기기 기업대표가 23일 전주시장실에서 ‘전북대 바이오 시설·장비 활용 및 기술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참여한 6개 기업은 ㈜시지바이오, ㈜태웅 메디칼, ㈜티디엠, 시브이바이오, 오에스와이메드, S&G바이오텍 등으로, 이들 기업은 스텐트, 카테터 등 중재의료기기를 주력으로 개발·생산하고 있다.

참석자들은 시와 전북대가 구축 중인 바이오 헬스케어 클러스터 관련 바이오 시설·장비를 공유하고,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이전에 힘쓰기로 했다. 이와 함께 의료기기 공동 연구 개발과 기술 교류에 협력하고, 기업 공간 지원 등 바이오 헬스케어 클러스터 조성에 필요한 각자의 역할을 공유하기로 했다. 지속가능한 바이오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협력사업 발굴에도 힘을 모으자고 했다.

시는 향후 기업들이 전주에 연구소나 자회사를 신설하도록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본사 유치를 꾀해 전주 의료기기 클러스터를 대한민국 바이오 의료산업을 이끌어갈 거점 공간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에 뛰어든 도시들도 있지만 전북대학교와 중재적 메카노 바이오 기술융합연구센터,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 농촌진흥청 등 전주만큼 탄탄한 기반을 갖춘 도시는 많지 않다”면서 “바이오 헬스케어 산업이 전주 100년 먹거리의 자양분이 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전북대, 바이오 헬스 추진단, 국내 의료기기 기업들과 굳건한 협업을 펼쳐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