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일 치러진 제20대 대선에서 MZ세대(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는 새로운 ‘캐스팅보트’로 자리매김했다. 뚜렷한 정치적 성향이 없다는 점과 변동성이 크다는 점이 특징인 이들 세대는 선거 이후에도 각 정당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각 정당들은 MZ세대가 대선에 이어 지방선거에서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하고 이들 세대를 후보로 내세우는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MZ세대에 대한 관심이 단순 표심을 얻기 위한 도구에 불과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먼저 더불어민주당은 여성과 청년 공천을 늘리는 방향으로 공천 방식을 논의하고 있다.
앞서 송영길 전 당대표가 지방선거에서 광역·기초의원의 30% 이상 청년 공천을 의무화하겠다고 언급한 것을 최대한 실현시키겠다는 계획으로 보인다.
박지현 공동비대위원장은 지난 24일 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시도당 위원장 연석회의에서 “당이 지선에서 이전과는 다르게 여성과 청년을 대거 추천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국민의힘 예비 공직후보자 역량강화 평가(PPAT)’를 통한 공정 경선에 중점을 두고 있다.
9등급, 상대평가인 이 시험은 결과에 따라 광역의원 비례대표는 2등급(상위 15%), 기초의원 비례대표는 3등급(상위 35%) 이상의 성적을 얻어야 지원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국민의힘은 호남에서는 청년 후보들을 대거 기용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 24일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는 호남 지역 지방선거와 관련해 “대학교 인근 선거구 같은 경우 대학생과 대학을 갓 졸업한 후보들을 총 배치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또 정운천 국민의힘 전북도당위원장 역시 지난 25일 전북도의회 간담회 이후 본보의 질의에 “2030 세대가 국민의힘 전북도당의 자원이다”며 “이번 지방선거에 많은 청년 후보가 나올 예정이다”고 밝히기도 했다.
문제는 이번 선거에서 많은 MZ후보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정작 이들 내부에서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크다는 것이다.
특히 지역 MZ정치인들은 줄 세우기 문화가 있는 기성세대 정치인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에 유권자로부터 실력과 검증을 평가받기도 전에 출마가 좌절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또 당 차원에서 쇄신 등을 이유로 외부 공천이라도 하게 되면 기존 지역 MZ정치인들 입장에서는 설 자리가 사실상 없다는 불만도 있다.
한 지역 MZ정치인은 “항상 당에서 청년 정치를 활성화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있지만 실천 여부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남는다”며 “충분한 실력과 잠재력이 있는 청년 후보들이 있음에도 출마로 이어지기는 어려운 현실이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