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블랙홀 현상과 지방 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전라북도 독자 광역화(메가시티) 전략 마련 연구용역을 전북도가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은 문제가 있다. 7000만 원에 달하는 적지 않은 예산을 투입하고도 비공개 방침을 정한 것은 전북도 스스로도 활용 가치가 없다는 것을 자인한 결과가 아닐 수 없다.
수도권 집중화로 설자리를 잃어가는 비수도권이 생존을 위한 자구책 차원에서 초광역화 메가시티 전략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미 부산과 울산 경남이 인구 800만 명 규모의 동남권 메가시티를 구축 중이고 충남 충북 세종도 충청권 그랜드 메가시티 결성에 나섰다. 대구 경북과 광주 전남은 행정 통합형 메가시티를 추진 중이다.
하지만 인구나 경제 규모가 왜소한 전북만 초광역화 메가시티 전략에서마저 소외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어 왔던 게 사실이다. 타 시·도의 메가시티 전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던 전북도는 뒤늦게서야 독자 광역화 전략 마련에 나섰고 강원 제주와 함께 강소권 메가시티 구축을 추진하기로 했다.
전북도는 이를 위해 지난해 5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7000만 원을 들여 독자 광역화 전략 마련 연구용역을 의뢰했고 11월 말까지 완료하기로 했다. 그러나 용역 보완 등을 이유로 납품 기한이 두 차례 연기됐고 지난달 말에야 마무리됐지만 전북도는 연구용역 결과를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 전북과 함께 강소권 메가시티 구축에 나선 강원은 지난해 12월 강원형 특별광역권 기본 구상 연구용역을 마무리했다. 강원은 2030년까지 춘천권과 원주권을 묶어 인구 100만 광역생활협력권으로 발전시킨다는 전략을 발표하고 정부에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왜 전북만 독자 광역화 연구용역 결과 공개를 못하는가. 현실성이나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기 때문인가. 아니면 윤석열 당선인의 새만금 메가시티 전략과 배치되기 때문인가. 이도 저도 아니면 새 정부 출범 이후 정책기조와 맞추어서 메가시티 전략을 추진하려는 것인가.
전북의 운명은 전북 스스로 결정하고 개척해야 한다. 중앙 정부의 눈치나 보고 시혜성 지원에만 기대선 안 된다. 당당히 전북의 발전 구상을 밝히고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협력할 것은 협치해서 전북의 미래를 열어가야 마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