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지방선거가 두 달 여도 남지 않은 가운데 현역 단체장들과 입지자들간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면서 전북정치권이 혼돈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특히 이미 법정처리 시한을 넘긴 지방선거 선거구 획정 논의가 또 다시 무산되면서 입지자들이 속을 태우고 있다.
여기에 민주당 공천 1차 심사에서 탈락한 입지자의 거센 반발과 1차에서 적격 판정을 받았지만 일부 인사가 2차 검증에서 탈락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지역정가가 술렁이고 있다.
3일 지역정치권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북에선 광역단체장 4명, 도교육감 5명, 기초단체장 69명, 광역의원 75명, 기초의원 248명 등 총 401명이 예비후보 등록을 마쳤다. 여기에 아직 등록을 하지 않은 현역 단체장 등 입지자를 포함하면 지선 경쟁은 더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지방선거의 최대 관심사는 지사 선거다. 전북지역은 민주당의 전통적인 텃밭이어서 ‘공천이 곧 당선’이라는 등식이 성립되어 공천경쟁에 사활을 걸고 있다. 현재 민주당에서는 역대 최고의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당내 경선은 3선 도전을 선언한 송하진 현 전북지사를 비롯해 안호영 의원, 김윤덕 의원, 김관영 전 의원, 유성엽 전 의원, 김재선 노무현대통령정신계승연대 전북대표 등 6파전으로 전개될 것으로 예측된다. 4월 중순께 경선에 나설 후보군의 면면이 드러날 전망이다.
국민의힘에서는 김용호 남임순 당협위원장이 출사표를 던졌으며 정의당도 후보를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초단체장 선거 또한 본선만큼 치열한 당내 경선이 예고됐다. 도내 여야는 공천 기준안을 마련했거나 논의 중으로 이달부터 본격적인 공천 심사가 진행, 결과에 따라 전북정치권의 후폭풍이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앞서 전주시장 예비후보 부적격 판정을 받은 임정엽 전 완주군수가 중앙당에 재심위원회에 이의신청서를 제출했지만 기각된 것으로 확인됐다. 사실상 민주당 이름으로 전주시장 선거에 출마할 수 없다. 임 전 군수측은 4일 전북도당을 상대로 "부적격 판정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바로 잡아달라"고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또한 전북도당은 지난해 12월 당소속 시장·군수들에 대해 첫 공직자 평가를 진행, 하위 20% 대상자는 공천·경선에 불이익을 부여하기로 결정하기로 해 공천 칼바람이 예상된다. 국민의힘은 정당 사상 최초로 광역·기초의원 후보자를 대상으로 공직후보자역량강화(PPAT)시험을 응시하도록 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전북정치권이 빠르게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됐으나 광역·기초의원 선거구 획정은 지연, 도내 입지자들의 혼선이 계속되고 있다. 민주당은 6·1 지방선거부터 기초의원 정수를 3인 이상으로 하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자고 주장하지만, 국민의힘은 이에 반대하며 광역의원 정수 조정과 선거구 획정만 하자는 입장이다.
지역정치권 한 인사는 “여야 선거구 획정 논의가 또 다시 결렬돼 출마예정자들이 어디에서 선거운동을 해야할지 걱정이 앞선다. 중앙정치권의 전횡이 도를 넘고 있다"고 비판하며 "앞으로 공천심사 결과에 따라 반발이 거세지는 등 후폭풍도 만만치 않아 지방선거가 혼돈속으로 빠져들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