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형일자리가 지난해 2월 25일 지정된 이후 1년이 경과된 가운데 정부 상생형 일자리 민관합동지원단이 6일 현장실사를 갖고 진행상황 등을 점검했다.
이번 현장실사에는 산업ㆍ기술ㆍ노동ㆍ회계 등 민간 전문가를 포함한 10여명의 민관합동지원단과 군산형일자리 참여기업, 군산형일자리 실무추진위원, 유관기관 등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이들은 현재 가동중인 참여기업의 사업장의 생산준비 상황과 신규공장 착공상황 등을 점검하는 한편 군산형 일자리 총괄 진행상황 보고와 질의응답의 시간을 가졌다.
특히 총괄보고 자리에서는 군산형 일자리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제안과 열띤 토론이 펼쳐졌다.
또한 시장 상황을 반영한 참여기업들의 연차별 계획 현행화를 위한 논의도 펼쳐졌다.
이 자리서 명신은 이집트와의 전기마이크로버스 및 E-툭툭 협약에 대한 반영, 에디슨모터스는 연차별 버스와 트럭 생산 물량 조정 및 인도 수출 물량 반영, 대창모터스와 코스텍은 연차별 생산물량 조정 반영 등에 대한 검토가 이뤄졌다.
군산형 일자리는 지난 1년간 추진체계를 완성하고 임금관리위원회에서 의결ㆍ제시한 임금교섭 기초자료를 토대로 공동교섭단에서 기본교섭 합의를 도출한 상황이다.
공동근로복지기금 도입을 위해 고용부에 제도개선을 요구, 관련 법규 개정을 이끌어 내는 등 상생협약의 세부 이행사항을 한 발짝씩 실천하고 있다.
한편 시는 산업부 공모를 통한 중견ㆍ중소 전기차관련 협업기반 구축(200억원)사업으로 전기차 관련 업체간 협업의 기틀을 마련하고, 지난 3월 신규 국가 공모사업(산업용 자율주행 스케이트 플랫폼 개발)에 응모하는 등 R&D사업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