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25일 대한민국의 국악계 큰 어른이시며 남원농악을 이끈 상쇠 류명철 명인이 81세의 춘추로 안타깝게 별세하셨다. 명인이 몸담았던 남원농악은 전북 남원시 금지면 옹정리 일원에서 전승되는 농악으로 호남 좌도농악의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마을 단위 대동굿을 통해 오랫동안 전승되어온 전라북도의 농악이다. 특히 들당산굿, 마당밟이, 판굿으로 구성된 마을굿으로 판굿 중 뒷굿(도둑잽이, 재능기) 구성이 특이하며 호남 좌도농악에서만 사용하는 부들상모를 전승자들이 현재까지도 직접 제작하여 연행하는 등 차별화된 연희를 구현하고 있다.
남원농악의 특징은 가락이 다채로우며 놀이 동선과 동작이 세련되고 섬세하다. 그것은 각 장단의 가락과 연희 동선의 예술성이 높다는 이야기로 그러한 농악의 품격은 남다르다. 남원농악을 이끌었던 고故 류명철 명인은 약관인 16세에 마을 농악단에 들어가 기능을 익혔고 18세에 상쇠로 입문하여 남원농악을 이끄셨다. 이후 지역 농악인들을 규합해 1970년대 초 남원농악단을 창단하셨고 오랜 시간 활발한 활동을 하시면서 남원농악의 진가를 대내외에 알렸다. 1997년 8월 남원농악 판굿 발표회를 주도적으로 실연하였고 이듬해 전라북도무형문화재 심사를 거쳐 남원농악의 예능 보유자가 되셨다.
류명철 명인과 함께 남원농악의 전승과 진흥을 담당하던 남원농악보존회는 기록 및 채록 작업을 통해 많은 자료를 더불어 남겼다. 남원농악의 가락과 고사소리를 CD와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였고 농악에 들어가는 모든 장단을 정간보와 서양 악보로 기록하여 단행본을 내는 등 남원농악을 위한 열정과 노력을 쏟아부었다. 그러한 결과로 전라북도의 무형문화재였던 남원농악은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승격을 이루어냈고 그 위풍을 당당히 전국의 전통예술인들에게 보여주었다.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농악에는 전국 8곳의 농악이 있다. 각각 지역 특화된 연희와 가락을 전승하고 있는데 그 분포를 살펴보면 경기도 1곳(평택농악), 강원도 1곳(강릉농악), 경북 1곳(김천금릉빗내농악), 경남 1곳(진주삼천포농악), 전남 1곳(구례잔수농악) 그리고 전북 3곳(이리농악, 임실필봉농악, 남원농악)으로 각각 차별화된 예술성과 더불어 실연능력과 전승활동, 전승의지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그중 남원농악은 걸립(乞粒)농악의 전통을 모두 갖고 있다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 의미는 농악 연희자들이 지역사회 운영의 주축이 되어 마을을 돌며 마을 공공자금을 마련하고자(걸립)하는 공동체의 유기적 관계 즉 운명공동체의 생활 방식을 잘 표현한 문화유산이라는 것이다. 또한, 남원농악은 마당극 형식의 재담과 상여소리, 호남좌도 특유의 부들상모놀음 등 많은 지역 문화 전통예술의 특징을 담고 있다.
8개의 “농악” 국가무형문화재 중 3곳을 보유하고 있는 전라북도. 호남평야의 드넓은 대지 위에 선조들의 역동적이며 진취적인 삶을 대변하는 우리 농악은 그렇게 역사 위에 견디어 왔고 우리 민중 속으로 전승되고 있다. 고故 류명철 명인의 명복을 다시금 빌며 호남 운명공동체의 대표적 문화유산 “남원농악”의 보존과 전승이 굳건히 이어지기를 소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