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적치물 점령⋯걷기 싫은 거리 된 걷고 싶은 거리

전주 고사동 걷고 싶은 거리 차량∙적치물 점령
전주시 "수시로 단속하고 홍보활동 지속"

전주시 고사동 걷고 싶은 거리가 불법주정차와 차량통행, 각종 입간판 등으로 10일 보행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어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오세림 기자

“걷고 싶은 거리인데 보행 환경이 쾌적하지 않아 불쾌합니다.”

전주시가 지정한 '걷고 싶은 거리'가 각종 적치물과 불법주∙정차 차량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보행자를 위한 특화거리이지만 이름이 무색할 만큼 관리가 부실하다는 지적이다.

지난 9일 오후에 찾은 전주시 완산구 고사동 일대의 걷고 싶은 거리. 따뜻한 봄 날씨를 맞아 많은 시민과 여행객들이 걷고 싶은 거리를 찾은 가운데, 거리는 불법으로 주∙정차된 차량들과 상가의 광고물들로 점령돼 있었다.

곳곳에 설치된 전봇대에는 '걷고 싶은 거리', '주차금지', '견인지역' 등의 표지판이 붙어 있었지만, 이를 무시라도 하듯 자동차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 마다 주차가 돼 있었다.

거리 내 상가의 풍선형 광고물과 가판대 또한 인도를 침범해 시민의 보행권을 침해하고 있었다. 차량과 적치물이 보행로를 침범하다 보니 보행자들은 어쩔 수 없이 이들을 피해 가다 서다를 반복할 수밖에 없었다.

이 때문에 주차된 차량 사이에서 어린 아이가 갑자기 튀어나와 차량이 급정거를 하거나, 아슬아슬하게 보행자를 비껴가는 차량들의 모습이 보이는 등 아찔한 상황도 목격됐다. 

이날 여자친구와 전주를 찾은 여행객 오민수 씨(31)는 “전주 한옥마을에 왔다가 식사를 하러 걷고 싶은 거리를 찾았는데 자동차 경적소리가 계속해서 들리고 차량이 많아 불쾌했다”며 “주차장이 코 앞에 있는데도 불법주차를 한 사람도 나쁘지만, 지자체 차원의 철저한 단속도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전주시는 해당 구간을 폐쇄회로(CC)TV와 이동식 단속 차량으로 수시로 불법주∙정차 단속을 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얌체 불법주∙정차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고, 이로 인한 심각한 보행권 침해와 교통사고 위험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걷고 싶은 거리는 상습적으로 불법주∙정차가 발생하는 곳으로 꾸준히 단속을 진행하고 있지만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라면서 “현수막이나 표지판으로 홍보활동을 지속하고, 단속 또한 더욱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전주시에 따르면 불법주∙정차 단속건수는 2020년 20만 7766건, 2021년 18만 6898건, 올해 3월 말 기준 3만 6470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