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장 선거에서 사퇴한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의 '선거녹취록 폭로 사태'로 촉발된 여론조사 조작의혹 파장이 일파만파 커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기초단체장 예비후보들이 연달아 기자회견을 열고 휴대전화를 이용한 여론조사가 청구지 변경을 통한 ‘조작’행위라며 강력 반발했다. 특히 이들은 당 차원의 공천심사 방법 변경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돈승(완주군수), 한병락(임실군수), 양성빈(장수군수) 예비후보는 14일 전북도의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휴대전화를 악용한 여론조작이 횡행하고 있다"며 이 사안을 경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여론조작은 민주주의 근간과 정당의 존립 자체를 흔드는 구태정치의 전형적인 행태"라며 "조속히, 철저하게 진상이 규명됨으로써 후보들이 경선의 공정성에 어떠한 의구심도 갖지 않게 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고 전했다.
특히 "인구가 작은 군 단위에서는 몇백 명 정도의 요금 청구서 주소를 해당 지역으로 변경하면 여론조사 결과가 심각히 왜곡될 수 있다"며 "실제 협잡꾼(브로커) 세력이 후보 캠프에 접근한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비후보들은 "지난 13일 선거관리위원회에 조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또한 이들은 “민주당 공천심사인 여론조사 방식이 공정성을 갖추려면 실제 여론이 굴절되지 않고 제대로 반영되는 방법이 필요하다”며 “해당 지역에서 요금납부가 6개월 이상 지속된 휴대전화만을 가상번호 대상으로 하는 방법, 아니면 권리당원만으로 여론조사를 진행할 것”을 촉구했다.
순창군수 선거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 장종일, 권대영, 최기환 예비후보도 같은날 기자회견을 열고 "순창군수 여론조사에서 선거 브로커가 조직적으로 여론을 조작했다는 의혹이 있다"면서 수사를 촉구했다.
이들은 "현행 안심번호 여론조사는 기득권 정치인들이 여론을 조작하기 쉬운 구조로 되어있다"면서 "타지에 살고 순창을 한 달에 한 번도 찾지 않은 이들도 휴대전화 청구서 주소만 바꾸면 지역 여론조사에 참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찰과 검찰은 순창군 이동통신 3사의 전체 월별 가입자 수를 수사해 달라"고 주문했다.
한편 더불어민주당 경선은 권리당원 50%, 여론조사 50%로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