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발전을 영위해 나가려면 기업은 물론 지방자치단체도 지속가능한 경영에 적극 나서야 한다"
완주군이 주요 정책에 환경보호와 사회공헌, 윤리행정을 접목하는 이른바 'ESG 경영 역량 강화'에 나서 눈길을 끌고 있다.
완주군은 14일 오후 완주문화예술회관에서 박성일 완주군수를 비롯, 전 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안치용 ESG연구소 소장을 초청해 ‘ESG 역량강화를 위한 특강’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요구되는 탄소중립 등 환경과 사회적 책임 문제가 이슈로 부상, 공공 영역에서도 ESG 도입 필요성이 높아지는 시대 상황에 따라 마련됐다.
완주군 관계자는 "선제적으로 전 직원 교육을 통해 ESG 경영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공감대를 확산, 군의 주요정책에 ESG 경영을 도입하기 위한 것"이라고 특강을 실시한 배경을 설명했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과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환경보호에 앞장서고 사회공헌 활동에 최선을 다하며 윤리경영을 실천해야 한다는 철학을 담고 있다. 2015년 파리기후협약 채택 이후 국내외 기업들이 ESG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으며, 이제는 공공기관들도 ESG 경영에 속속 참여하는 추세다.
안 소장은 이날 ‘ESG와 지속가능성, 지방정부’를 주제로 한 2시간 특강에서 “사회나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영을 위해서는 환경적 책임과 사회적 책임, 경제적 책임 등 세 개의 기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며 “과거에는 경제적 성과만을 기업의 책임 영역으로 보았으나 이제 사회, 환경적 성과와 책임을 동시에 이행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소장은 “환경과 사회, 경제를 세 기둥으로 하는 지속가능한 경영은 기업의 매력도 증가와 명성 제고, 법규 준수, 리스크 관리 등을 통해 비용을 절감해 주고 매출은 증대해 줄 것”이라며 “이제 지방정부도 각 정책 입안 과정부터 지속가능한 발전과 경영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이어 지방정부가 지속가능한 경영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추진기반 마련과 추진체계 구축, 추진체계 운영 등 3단계 로드맵을 세워 진행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추진 기반을 마련하는 1단계에서는 지속가능 발전을 위한 조례 제정과 ‘지속가능 거버넌스’ 구성 등 조직을 설치하고 공무원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해야 한다. 교육은 핵심인원부터 실시하면서 전체 직급별 교육으로 확산해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2단계에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비전 선언과 전략, 이행계획 수립, 지표 개발 등에 나서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이행계획의 수정·보완·평가 등을 진행하는 등 단계별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완주군은 이날 특강을 시작으로 탄소중립 정책 강화와 수소경제 육성, 사회적 책임을 위한 정책 발굴 강화 등 환경과 사회공헌, 윤리경영 강화 등 ‘ESG 행정’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박성일 군수는 “기업뿐만 아니라 이제 행정기관도 환경과 사회적 책임, 윤리 문제를 강화하는 ESG 행정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며 “앞으로 직원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군의 주요 정책에 ESG를 접목하고 확산해 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