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악의 전북지선, 각종 정치공작 '횡행'

도민보다 민주당 지도부가 주인이 된 지방선거
이 과정 속 유례 없는 수준의 민주당 주자 간 네거티브
후보는 네거티브 뒤에 숨고, 캠핵관이 선거운동 주도

이번 6·1 지방선거가 ‘역대 최악의 지선’이라는 비판이 전북유권자들 사이에서 거세지고 있다.

민선8기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지역발전을 위한 비전제시 대신 마타도어와 같은 정치공작이 횡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더불어민주당을 견제할 세력이 전무한 상황에서 민주당 주자들 간 유례없는 ‘네거티브 전’으로 비화되고 있다. 상대 후보를 향한 흑색선전이나 유언비어 살포, 비판 등은 선거 때마다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민주당 지도부가 선출직을 임명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전북에선 그 혼탁함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정당의 공천은 본래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발해 지역민들의 더 많은 선택을 받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북에선 ‘민주당 공천이 곧 당선’으로 인식되고 있어 공천 티켓을 둔 사생결단의 싸움이 지속되고 있다. 문제는 일당독주 현상이 대의 민주주의를 왜곡할 우려가 높다는 점이다. 민주당에 대한 전북도민의 절대적 지지가 지역 민심임에는 틀림없다. 다만 일당체제가 공고해질수록 단체장 선택의 키는 사실상 도민의 직접적 선택이 아닌 민주당 지도부가 쥐고 있는 게 현실이다. 

전북정치권 내에서 도민들의 민심보다 지도부의 선택을 받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권모술수’가 일반화 된 점도 이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민주당 공천 시스템이 하향식에서 상향식으로 개선되면서 이러한 부분은 시간이 지날수록 개선됐다고 하나 경선이나 후보자 심사에서 당 지도부가 임의적으로 개입할 여지는 여전히 존재한다. 공천 룰 적용 역시 후보자에 따라 각기 다르게 적용되고 있다는 오해도 유독 많아졌다. 탈당자 대사면 발표가 늦어지면서 이번 민주당 경선이 옛 국민의당 출신세력과의 계파싸움 성격으로 번진 모습도 포착되고 있다.  

도내 정치권 인사들의 공천싸움이 과거보다 더 악화된 점도 많다. 이번 민주당 공천경쟁에선 유력주자 1명을 대상으로 한 다른 후보들의 컷오프 전략이 두드러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후보들의 정책공약의 질은 떨어지고 있으며, 대신 네거티브 전략은 교묘해지고 있다는 평가다.

도내 광역·기초단체장 후보들의 주요공약은 복사라도 한 것처럼 동일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캠프 관계자들은 자신이 돕는 후보자의 장점이나 강점, 그리고 희망을 이야기하기 보단 상대편 후보의 약점을 물어뜯는데 혈안이 돼 있다. 이러한 여론을 주도하는 이들은 일명 캠핵관(캠프 핵심관계자)으로 특정 후보자의 칼이 되어주고 있다.

과거엔 자신이 공천을 받기 위해 직접 발로 뛸 수밖에 없었다면 현재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문자메시지 등을 활용한 각종 네거티브도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전북정치권의 특징은 출마한 정치인이 직접 네거티브를 하지 않고, 지지자를 가장한 캠프 관계자들의 뒤에 숨어있다는 점이다. 

자신의 이름을 걸고 마타도어를 퍼뜨릴 경우 책임소재가 분명하고 이것이 사실이 아닐 경우에 있을 역풍을 염려해서다. 출마자 입장에선 이 출처가 불분명하면 할수록 다른 곳에 책임소재를 돌릴 여력도 많아진다.

최근 선거브로커 폭로사태는 최악의 지선이라는 평가에 불을 부었다. 그리고 이 녹취는 지역정치권이 그 발언의 실체여부를 따지기 보단 또 다시 네거티브의 도구로 활용되면서 수많은 2차 가해와 직·간접적 피해자들을 양산하고 있다. 전북경찰과 검찰, 전북선관위 또한 혼탁선거에 소극적으로 대응하면서 논란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