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전 한 선배와의 약속이었습니다. 장애인들과 비장애인들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세상을 만들어 가는데 미력하나마 힘을 보탰습니다”
장애인 권익 증진을 위해 한평생을 헌신해 온 하태성 (사)익산시장애인골프협회장(67)은 평생 살아온 자신의 삶을 이같이 회고했다.
그러면서 앞으로의 삶에 대한 각오를 새롭게 다졌다.
지난 2019년부터 익산시장애인골프협회를 이끌어 오고 있는 그는 연일 분주하다.
회장으로서 매년 각종 대회 준비와 선수 관리, 구장 관리 등은 물론 익산과 전북지역에서 장애인골프 관련 숱한 민원을 솔선수범 도맡아 처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익산협회에 사무장과 직원이 있지만, 그의 손을 거치지 않는 일은 거의 없다. 일손이 부족할 때는 승합차 기사 역할도 마다않고 자처하는 그다.
익산협회장 외에 부회장도 맡고 있기 때문에, 전국 각지에서 벌어지는 대회 준비도 그의 역할이다.
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펼쳐지는 경기에서 조금의 불편 없이 선수들이 제 기량을 맘껏 발휘할 수 있도록 전국을 돌며 시설을 점검하고 선수들을 관리하고 원활한 경기 운영을 독려하고 있기에, 한 달에 한 두 번 출장은 기본이다.
익산협회는 대회에 출전할 때마다 경비 명목의 보조금을 받지만 고령 위주인 회원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별도의 회비를 받지 않는다. 그래서 협회를 꾸려나가면서 드는 갖가지 비용도 그의 몫이 되기 일쑤다.
하지만 그의 얼굴은 언제나 밝다.
“한 45년 정도 됐을까요. 소아마비를 앓던 선배가 어느 날 돌아가셨어요. 선배의 유지를 받들며 살다보니 지금까지 오게 됐지요. 저는 아직 마음 정리가 안 된 사람입니다.”
어떻게 평생 그런 삶을 살아올 수 있었냐는 질문에 그는 오래전 일을 회고했다.
자신의 평생 헌신을 그렇게 주저 없이 선배의 공으로 돌렸다.
그런 그의 오랜 노력에 더해 최근 공원처럼 작은 공간에서 즐기는 파크골프나 노년층 위주의 시니어골프가 인기를 끌면서 익산협회 회원도 지난해 말을 전후해 급격히 늘었다.
장애인 권익 증진과 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해 2년여 넘게 매달렸던 익산 북부권 어울림 파크골프장도 지난 3월 첫 삽을 뜨면서 나름의 결실을 얻었다.
이제 그는 다시 한 걸음을 내딛고 있다.
지도사자격증을 보유한 익산협회 회원들과 함께 초등·중학생 골프 강습을 구상하고 있는 것.
그는 “장애인이나 비장애인이나 다 같은 시민이고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사회 구성원”이라며 “골프에서 서로 규칙을 준수하고 매너를 지키는 것처럼, 시민 누구나 서로 배려하고 함께 어우러지면서 건강하게 사는 사회가 됐으면 한다”며 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