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문화관광재단 예술인 지원 사업 심사 '잡음'

예술인과 재단 사이 의견 '팽팽'

전북문화관광재단 사무처 전경

전북문화관광재단의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선정자 심사를 둘러싼 잡음이 일고 있다. 심의위원 풀을 전북 내 예술인으로 채워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 반면 전북 예술인이 전북 예술인을 심사, 선정하게 되면 투명성과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은 도내 예술인 및 예술단체의 창작 역량 강화 및 예술인 성장 도모를 위해 최소 200만 원부터 1000만 원까지 예술인 개인이나 단체에 지원하는 사업이다.

재단은 지난 1월 7일부터 1월 28일까지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사업’ 공모를 진행했다. △문화예술창작(육성, 심화, 창작집 발간, 문예지 발간) △문화예술기반구축 △청년예술창작 3개 분야로 나눠 지원하도록 했다.

심의위원 구성과 관련 재단은 매년 상반기, 하반기로 나눠 심의위원을 공개 모집하고 있다. 

심의위원 공개 모집 공고에 따르면 △문화예술분야의 창작, 비평, 연구, 기획, 교육, 언론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하거나 활동한 자 △문화일반, 복지, 지역문화, 국제 교류, 문화정책, 예술경영ㆍ행정, 문화예술교육, 문화산업 분야에서 10년 이상 종사하거나 활동한 자 △문화예술단체에서 10년 이상 활동한 자 등이 해당된다.

또한 주의사항으로 △지역, 나이, 성별, 학력 등의 제한은 없으나 현재 국내에 거주하고 추후 지원 사업 심의에 참여가 가능해야 함 △심의위원 자격 검토를 통해 자격이 확인되지 않은 신청자는 후보군에서 배제될 수 있음 △지원사업 신청자 및 관계자는 추후 심의위원 선정에서 배제될 수 있음이라고 명시 돼 있다.

하지만 선정자가 발표되고 난 후 도내 예술인 사이에서 심사 체계와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도내 예술인 A 씨는 올해 지원 대상자로 선정이 됐음에도 심사 체계와 방법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냈다. 

A 씨는 “심의위원 개개인의 자질을 따지려는 것이 아니라 재단의 심사 체계와 방법 등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면서 “현재 재단의 심사를 보면 초등학교 졸업한 사람이 석사, 박사 논문을 보고 있는 격이다. 제3자가 봤을 때도 심의위원으로 인정되는 사람이 심사를 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B 씨는 “심의위원 상당수가 외부인으로 돼 있는데 전북의 현실과 실정, 그리고 전북만이 가진 예술을 이해하려면 심의위원은 전북 예술인들이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재단 관계자는 “심의위원 인력 풀을 구성해 심의위원을 선정하고 있는데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를 위해 심의위원 비율의 3분의 1 이상을 도외에서 선정하고, 성평등을 위해 최종 심의위원 후보군 구성 시 특정 성별이 3분의 2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어떤 예술인은 지역을 잘 아는 사람이 해야 한다고 하기도 하고, 어떤 예술인은 지역을 잘 아는 사람이 하면 심사 공정성이 훼손된다는 반대의 의견을 보이기도 한다”면서 “예술인들의 의견을 수용해서 심의위원 비율의 3분의 1을 도외 사람으로 하는데 국민권익위원회 권고 사항이나 심의 규정에 따라 위원을 선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