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 화상프로그램을 통한 비대면 수업이 많아지면서 디지털 기기의 사용량이 늘어난 것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어린이·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가정 환경을 바꾸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전주에서 초등학교 2학년 아이를 키우는 박현승 씨(41)는 최근 아이와 갈등이 잦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 아이와 매일 같이 스마트폰 사용을 놓고 다투기 때문이다.
박 씨는 “공부는 태블릿PC로 하고, 게임은 스마트폰으로 하기 때문에 밥을 먹을 때도 스마트폰을 손에서 놓지 않는다”며 “밥은 먹여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스마트폰을 빼앗지는 않지만 중독이 심한 것 같아 걱정된다”고 말했다.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스마트폰 의존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전북의 370가구를 비롯한 전국 17개 시·도 1만 가구를 대상으로 '2021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유아동(만3세∼9세)의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8.4%, 청소년(만10세∼19세)의 비율은 37%로 성인(23.3%)보다 의존도가 높았다. 특히 성인의 스마트폰 과의존 비율은 2019년 18.8%에서 23.3%로 4.5%p 증가한 반면 유아동과 청소년은 각각 5.5%p, 6.8%p 증가해 성인보다 상승폭도 더 컸다.
어린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은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아이들을 걱정하면서도 2년이 넘는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면서 디지털 기기는 이미 일상이 됐다고 토로했다.
6살 딸을 키우는 김모 씨(32·여)는 “코로나19 기간동안 아이가 유치원을 가지 못하다 보니 집에서 한글을 가르칠 때 태블릿PC를 사용했다”면서 “코로나19 상황을 겪으면서 이미 일상이 된 스마트 기기들을 하루아침에 사용하지 못하게 하면 아이들이 더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는 미성년자들의 스마트폰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우선 가정의 환경을 바꿀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전북 스마트쉼센터 관계자는 “부모가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인 경우 자녀들도 위험군에 속하는 비율이 유아동은 23.5%, 청소년은 36%에 달한다는 연구결과도 있기 때문에 아이 앞에서 스마트폰 사용을 하지 않는 것이 좋다”며 “아이들에게 스마트폰 사용을 하지 못하게 할 수는 없지만 일정 시간을 정해 놓고 스스로 자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이동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