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리두기 해제에도 불구, 전북지역 서비스업 등에서 소비 회복이 여전히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2년 이상 지속되면서 지역 가계소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서울 등 역외유출의 결과로 분석된다.
한국은행 전북본부(본부장 한경수)는 28일 전북지역 소비의 주요 특징 및 코로나19 이후 소비행태 변화에 대한 조사연구 자료를 냈다.
이번에 한은 전북본부 기획조사팀 박수련 조사역이 수행한 조사연구에서는 전북지역 소비의 주요 특징을 통해 2011~19년 중 전북지역 가계소비 증가율은 경제성장률을 상회(소비 증가율 +2.3% > 경제성장률 +1.9%, 연평균 기준)했으나 2020년 중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가계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보다 큰 폭으로 위축(각각 –5.7%, +0.1%)됐다고 분석했다.
특히 전북은 코로나19 확산과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등으로 비대면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지역경제 내 비중이 높은 숙박·음식, 여행 등 대면 서비스업종의 소비지출이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신한카드사 및 하나카드사와의 협약을 통해 정보를 수집한 전북지역 개인신용카드 사용액 중 대면 서비스업(의료·보건, 숙박·음식, 여행·교통)의 비중이 2019년 32.1%에서 2020년 30.8%, 2021년 29.5%로 꾸준한 하락세를 보였다.
전북지역 신용카드 가맹점의 월평균 매출액은 2020년 2월~2021년 2월 중 7000억원으로 코로나19 발병 이전인 2019년(7700억원) 수준을 하회했다.
무엇보다 전북은 타 시도로부터 외부 소비유입률이 낮고 지역 내 거주자의 역내소비도 적게 나타났다.
한은 전북본부는 타 시도에서 전북으로의 소비유입률은 2020년 2월~2021년 2월 중 큰 폭으로 하락한 후 2021년 3월~12월중 소폭 상승(21.9%)했으나 코로나19 이전(24.1%)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분석했다.
전북지역 거주자의 역외소비는 주로 수도권에서 이뤄졌는데 코로나19 이후 서울(73.1%)로의 소비유출이 심화됐다.
따라서 최근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에도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지역 내 소비 촉진 노력 등 정책적 뒷받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은 전북본부 관계자는 “전북지역 소비 회복을 위해서는 그동안의 소비행태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며 “지역화폐 지속 발행, 유통업 및 용역서비스 소비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지역민들이 지역 내에서 소비할 수 있는 경제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