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상호 감독 "상상했던 영화제, 축제로서의 영화제"

1일 올해의 프로그래머 기자회견 개최
연상호 감독, 이준동 집행위원장 참석
연 감독 "보기 힘든 영화 볼 수 있는 기회"
이 집행위원장 "고마운 마음으로 진행 중"

연상호 감독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집행위원장 이준동)가 1일 전주중부비전센터에서 ‘J 스페셜: 올해의 프로그래머 연상호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연상호 감독, 이준동 집행위원장이 자리했다. 이준동 집행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모든 영화제는 저마다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전주국제영화제 역시 독립영화, 작가주의 영화 등 정체성을 가진 영화제 중 하나”라며 정체성을 고집하다 보면 자기 위안, 자기만족 위주의 영화제가 되기 쉽다고 덧붙였다. 전주국제영화제가 매년 외부 프로그래머를 초청하는 이유다.

연상호 감독에 따르면 전주국제영화제는 좋아하는 영화를 영화관에서 볼 수 있는 기회라는 설명과 함께 프로그래머를 제안했다. 이에 연상호 감독은 좋아했던 영화, 극장에서 놓쳤던 영화를 시간이 지난 후에 보는 느낌은 어떨까 궁금증이 생겼다.

그는 “대학교 1, 2학년 재학 당시 영화를 많이 좋아했다. 친구와 특별 상영을 보게 됐는데, 강남에서 보고 집이 마포라 마포까지 영화 이야기하며 걸었다. 이번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영화를 보고 관객이 집에 돌아가면서 이야기 나눌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자는 생각으로 작품을 선정했다”고 말했다.

(왼쪽부터) 블루 벨벳, 큐어, 실종

연상호 감독이 고민 끝에 선정한 작품은 데이비드 린치 감독의 <블루 벨벳>, 구로사와 기요시 감독의 <큐어>, 가타야마 감독의 <실종>이다. 세 작품 외에도 연상호 감독의 대표작 <돼지의 왕>, <부산행>도 볼 수 있다.

(왼쪽부터) 돼지의 왕, 부산행

연상호 감독은 “<돼지의 왕>, <부산행>이 같은 상영관에서 상영된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 <돼지의 왕>을 만든 연상호는 명절 때마다 상영하는 <부산행>을 만들지 몰랐다. 두 영화는 내용, 서사 면에서도 다른 결을 보인다”며 “한 사람의 손에서 나온 두 작품을 비교하면서 보는 것도 즐거운 경험이지 않을까 생각했다”고 전했다.

이어 전주국제영화제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는 “‘영화제’라는 대중적인 수단으로 평소에 보기 힘들었던 영화를 볼 수 있는 경험 자체가 독특하다. 도착하자마자 영화의 거리에서 영화제 스태프, 관객들이 캐리어를 끌고 다니는 것을 보고 ‘내가 상상했던 영화제’, ‘축제로서의 영화제’라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고 답변했다.

같은 질문에 이준동 집행위원장은 “걱정이 컸다. 객석의 50%만 채워져도 ‘애썼다!’는 소리는 들은 것 같은데 50%도 안 채워지면 어떡하지 걱정했다. 고마울 정도로 많은 관객이 찾아왔다. 영화제 첫 상영은 만석이었다”며 “보면서 영화는 관객에 고마운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관객도 코로나19 이후 달라졌다. 리액션이 너무 좋다. 참 고마운 마음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한편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는 오는 5월 7일까지 전주 영화의 거리 일대에서 개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