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 농업기술센터는 지역에서 생산한 안전한 먹거리를 자체 소비하는 먹거리 정책을 펼치며 농가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견인 등 두 마리를 토끼를 잡고 있다.
시에 따르면 군산지역은 1만6112명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농가 수는 6973농가다.
이 가운데 대규모농지 경작 농가는 20%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 80%는 경작면적이 적고 농가소득이 도심지역 근로자 평균소득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시는 농업정책의 범위를 단순 생산량 증대를 넘어 ‘농업인의 생산에서 소비자의 밥상까지’로 넓게 인식하고 지난 2018년 푸드플랜 계획을 수립했다.
이는 지역에서 생산된 농축수산물을 지역에서 소비시키기 위한 먹거리정책 추진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시의 푸드플랜정책은 중소가족농·고령농·귀농자들이 농촌지역에서 일정수준의 소득을 올리는 동시에 한정된 농지에서 다양한 품목을 재배해 시민들에게 안전하고 건강한 먹거리를 공급하도록 추진하고 있다.
특히 농촌지역에서 생산된 먹거리들이 도심 소비자들에게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통플랫폼을 구축, 농가소득 증대와 소비자의 건강을 보장하는 농업 정책이기도 하다.
시는 128개 3만1000명의 학생, 지역아동센터, 어린이집, 유치원, 경로당, 임산부뿐만 아니라 서울 은평구, 서대문구, 영등포구 도농상생 공공급식, 도내 타 지역의 학교급식 등 지역 먹거리를 공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시에서 출연한 공공형 지원조직인 재단법인 군산먹거리통합지원센터를 통해 625농가에서 생산된 친환경농산물 및 다양한 지역가공식품이 소비자 밥상에 오르고 있다.
이와함께 현재 지역 내 3개 로컬푸드직매장에는 1200여 농가가 직접 생산한 농산물을 출하해 소득을 올리고 있다.
김선주 군산시먹거리정책과장은 “중소가족농 및 귀농자들이 지속적으로 로컬푸드정책 및 푸드플랜정책에 참여함으로써 과채류 및 다양한 품목을 연중 공급할 수 있는 기획생산 체계를 구축해 가시적인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