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이 이번 공천심사에서 지역정치권의 인재난을 우회적으로 토로했다.
10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연 김 위원장은 기초단체장과 지방의원 공천을 둘러싼 여러 논란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도민들의 눈높이를 맞추기 위한 노력을 많이 했고, 그 과정에서 현직단체장이나 유력한 후보들이 공천에서 배제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렇다면 그 후에 정말 훌륭하고 역량있는 후보가 그 자리를 대신했느냐 이 부분에 대해서는 저 역시 의문” 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어 “당도 (정치인재 발굴에)많은 준비를 해야겠지만, 지역 내부에 역량있는 후보들이 준비돼 있어야함을 느꼈다”며“(품격과 능력을 갖춘 후보가 있어야)문제가 있을 때 대안으로 부상할 텐데 그 대안이 적합하지 않다고 하면 과감한 선택을 통한 혁신공천은 대단히 어렵다”고 부연했다.
그는 전북정치 혁신과 지역발전의 상관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일당독주와 기존 당내 기득권의 공고화가 경쟁을 실종시켰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우리 전북은 (정치에서)경쟁이 실종됐고, 이러한 현상이 고착된 것이 정치문화 후퇴와 지역낙후의 원인의 하나라고 판단하고 있다”며“우리지역에서 정당 간 경쟁은 당분간 성립이 어렵겠지만, 경쟁이 좋은 정책을 만들고 유권자들한테 최선을 다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만들 수 있는 만큼 당 내부 경쟁을 활성화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 한다”고 말했다.
도당 공천과정에서 불거진 고무줄 잣대 논란에 대해선 “도당에서 판단한 것과 도당 공천심사관리위원회가 판단한 것과 중앙당 재심위원회에서 판단하는 주체가 다른데다 나중에 재심위 판단을 비대위가 뒤집은 사례도 있다”면서“평가에 불일치가 생기는 것은 각 판단 단위들이 서로 다르고, 그 권위를 인정하고 존중할 수밖에 없는 그런 시스템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주당에선 각 급의 심사 주체들의 판단이 독립된 시스템 공천이 이루어졌다고 하는 것을 말씀드린다”고 했다.